[교육과정론] 교육과定義(정이)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9:45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론] 교육과정의 개발.hwp
둘째, 학생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analysis(분석) 하면서 중요한 교육목표를 시사 받을 수 있따 학생들은 생활사태와 학습사태 사이에 어떠한 공통점이 있다고 인식할 때나 학교에서 배운 것을 학교 밖의 사태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때 학교에서 배운 여러 가지 능력들을 생활 장면에 전이시키고 일반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기서는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워커의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 등 주요한 교육과정의 개발 유형과 그것들의 장․단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학생들의 생활實態나 문제의 활동이 자동적으로 교육목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어떤 모양의 이상적인 표준이나 규준에 비추어 양자간에 현격한 격차가 있을 경우에만 교육목표로 선정하는 것이다.
설명
넷째, 잠정적 목표들을 학습심리학을 통해서 거르고, 교육철학을 통해서 그것이 교육적으로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바람직한 것인지에 따라 다시 한번 걸러야 한다.
마지막으로 잠정적 목표를 학습활동을 선정하는 데 적절한 기준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다음의 네가지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좋은 교육과정 체제는 자체의 자기 교정력을 갖는 교육과정이어서 스스로 진화, 성장, 발전하는 교육과정을 낳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론] 교육과정의 개발-504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5%90%EC%9C%A1%EA%B3%BC%EC%A0%95%EB%A1%A0%5D%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A%B0%9C%EB%B0%9C-5046_01.jpg)
![[교육과정론] 교육과정의 개발-504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5%90%EC%9C%A1%EA%B3%BC%EC%A0%95%EB%A1%A0%5D%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A%B0%9C%EB%B0%9C-5046_02_.jpg)
![[교육과정론] 교육과정의 개발-504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5%90%EC%9C%A1%EA%B3%BC%EC%A0%95%EB%A1%A0%5D%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A%B0%9C%EB%B0%9C-5046_03_.jpg)
![[교육과정론] 교육과정의 개발-504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5%90%EC%9C%A1%EA%B3%BC%EC%A0%95%EB%A1%A0%5D%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A%B0%9C%EB%B0%9C-5046_04_.jpg)
![[교육과정론] 교육과정의 개발-504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5%90%EC%9C%A1%EA%B3%BC%EC%A0%95%EB%A1%A0%5D%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A%B0%9C%EB%B0%9C-5046_05_.jpg)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좋은 교육과정 체제는 자체의 자기 교정력을 갖는 교육과정이어서 스스로 진화, 성장, 발전하는 교육과정을 낳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교육목표를 설정할 수 있따 교육은 인간의 행동유형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므로 학생들로부터 기대되는 행동상의 변화가 교육목표가 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흥미나 욕구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
[교육과정론] 교육과定義(정이) 개발
Download : [교육과정론] 교육과정의 개발.hwp( 59 )
순서
교육과정론,교육과정의 개발
셋째, 여러 학문분야의 교과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서 중요한 교육목표를 얻을 수 있따 각각의 학문분야나 교과영역의 전문가들로부터 그들의 학문분야나 교과영역이 교육에 무엇을 기여할 수 있는지를 자문 받아야 할 것이다. 바빝와 타일러 이후 교사수준, 학교수준, 학교구수준, 지역과 국가수준 등 수많은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왔다. 여기서는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워커의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 등 주요한 교육과定義(정이) 개발 유형과 그것들의 장․단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바빝와 타일러 이후 교사수준, 학교수준, 학교구수준, 지역과 국가수준 등 수많은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