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손전에 형상화 된 축첩제도의 현실적 문제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12:10
본문
Download : 양기손전에 형상화 된 축첩제도의 현실적 문제인식.hwp
본 작품은 처 - 첩 간의 새로운 문제를 설정해 놓은 소설로 작품 배경은 조선시대이며 실 배경은 여러 표현 이 작품의 창작 시기는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다.
설명
I . 서론
1. 연구사 정리(整理)
2. 문제제기
II . 유형적 성격
1. 17세기의 초기가정소설
2. 18 - 19세기 가정 소설의 변모
III. 구성상의 특징
1. 인물의 속성 및 관계
2. 가정 내 분쟁의 양상과 해결
IV. 蓄妾制度에 대한 문제인식
V . conclusion(결론)
1. 연구사 정리(整理)
<양기손전>은 서울대 도서관의 일사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한글 필사본으로 전하는 고전소설로 현재까지 확인된 이본이 없다. 그는 첩에 몰두하다 가정을 그르치는 가장의 모습을 생생하게 부각시키고 있다고 하여 세태적 가정 소설의 모습을 보인다고 논하였다…(省略)
Download : 양기손전에 형상화 된 축첩제도의 현실적 문제인식.hwp( 38 )






순서
다. 이후 그는 <<양기손전>의 작품세계와 작자의식>에서 그러한 논의를 심화시켜 <양기손전>에서 작자는 서로 간에 아무런 恩怨도 없는 이들이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게 하는 蓄妾制의 불합리를 비판하면서 처-첩의 갈등으로 인한 불행을 막기 위해서는 남성들의 축첩행위가 없어져야하며, 여성들 스스로도 남의 첩이 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고 있다고 하였다.
김재동의 <한국 고전소설 연구>에서는 <양기손전>의 개괄적인 내용과 introduction, 간략한 평으로 단순한 작품 해제에 그쳤고 이성권의 <한국 가정 소설사 연구>에서는 가정소설의 history 및 전개를 說明(설명) 하면서 세태적 가정소설의 introduction로 <양기손전>을 introduction하였다. 그러나 판소리투의 문체, 상용된 어휘의 속성 , 현실적 가치관, 초현실계의 제거, 일대기적 구성에서의 이탈 등과 같은 작품세계의 특징으로 미루어 볼 때, 고전 소설의 전형적 틀이 해체되어 가던 신문학기 전후의 작품이 아닐까 추청 된다
이원수 『<양기손전>의 작품세계와 작자의식』
으로 보아 조선후기 김재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사, 1981. p. 523
로 추정된다
본 소설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가정소설, 세태소설 등을 다루는 논문 등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었다.1 , 양기손전에 형상화 된 축첩제도의 현실적 문제인식감상서평레포트 ,
1
논문입니다. 이원수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에서는 <양기손전>의 ‘처-첩 갈등’의 본질적 성격을 파악하여 구체적 해결책까지 제시하는 등 작자의식이 한층 심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면서, ‘처-첩 갈등’을 바라보는 작자의 시각에 논의를 집중 시켰다.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양기손전에 형상화 된 축첩제도의 현실적 문제인식
논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