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학기 동양철학산책 기말시험 project물(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 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2:47본문
Download : 20202기말_문화3_동양철학산책.zip
어떤 과정을 통해 인간의 마음에 들어왔는지 說明(설명) 할 수 없는 악은 하나도 없다. 동양사상은 인본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아
1.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의 핵심을 정리하고, 맹자와 순자의 정치철학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장자의 철학에서 볼 수 있는 ‘변화’, ‘옳고 그름’, ‘자아에 대한 인식’, ‘삶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공자의 철학과 다른 점을 정리해 보시오. 3. 현대 우리의 삶에서 동양철학이 주는 의미는 무엇이 있을지 각자 자신의 생각을 개진해 보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맹자와 순자 2. 장자의 철학 3. 동양철학이 주는 의미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공자의 철학.hwp 2. 맹자와 순자1.hwp 3. 맹자와 순자2.hwp 4. 맹자와 순자의 본성론 비교.hwp 5. 장자철학.hwp
3. 현대 우리의 삶에서 동양철학이 주는 의미는 무엇이 있을지 각자 자신의 생각을 개진해 보시오.
동양철학산책,방통대동양철학산책,방송대동양철학산책,동양철학산책과제물,동양철학산책과제,동양철학산책기말시험
이 리포트는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 장자의 철학에서 공자의 철학과 다른 점, 현대 우리의 삶에서 동양철학이 주는 의미를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절대원칙으로서 인(仁)보다는 인간사회의 질서를 규정한 예(禮)에 관해서 보다 현실적인 방면에 집중하여 논의를 전개시켰다. 순자는 이미 하늘과 인간사회와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인간사회의 질서는 인간 스스로 개척해야 한다.
3. 맹자와 순자2.hwp
1)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
2. 장자의 철학에서 볼 수 있는 ‘변화’, ‘옳고 그름’, ‘자아에 대한 인식’, ‘삶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공자의 철학과 다른 점을 정리(arrangement)해 보시오.
Download : 20202기말_문화3_동양철학산책.zip( 51 )
I. 서 론
2. 장자의 철학
동아시아권 culture를 일반적으로 유(儒)․불(佛)․도(道)의 사상이라고 부른다. 인간의 선한 마음을 유지하는 방법은 사회가 선하게 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다른 사람의 불행을 불쌍히 여김, 악한 일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함, 양보하는 마음, 일의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여기서 말하는 인(仁)은 `측은(惻隱)의 마음` 혹은 `남의 어려운 처지를 그냥 보아 넘길 수 없는 마음`이며, 의(義)는 불의불선(不義不善)을 부끄럽게 알고 증오하는 `수오(羞惡)의 마음`, 예(禮)는 사람에게 양보하는 `사양의 마음`, 그리고 지(智)는 선악시비를 판단하는 `시비(是非)의 마음`으로 說明(설명) 된다
2020년 2학기 동양철학산책 기말시험 project물(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 등)
1. 맹자와 순자
- 목 차 -
4. 맹자와 순자의 본성론 비교.hwp
1. 맹자와 순자
II. 본 론
순서
- 중략 -
설명





5. 장자철학.hwp
II. 본 론
1.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의 核心을 정리(arrangement)하고, 맹자와 순자의 정치철학에 대해 설명(說明)하시오.
1. 공자의 철학.hwp
III. 결 론
인간의 마음에는 선천적으로 사악함이 존재하지 않는다. I. 서 론
<< 함께 제공되는 참고data(자료) 한글파일 >>
(1) 맹자
방송통신 > 기말시험
3. 동양철학이 주는 의미
참고한 문헌
맹자의 도덕설로서 유명한 것은 성선설이다.
2. 맹자와 순자1.hwp
다.
맹자는 인간의 성은 선(善)이라고 하는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인간의 마음에는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 등 4덕(四德)의 4단(四端:싹)이 구비되어 있다고 하였다. 인간에게 있어 유일한 자연적인 정열은 자기애, 좀 더 넓은 의미에서의 이기심이다고 말했다. 즉, 주위에 있는 모든 사람이 순진한 것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이 가운데 동양사상에 많은 影響을 미친 것은 유가와 함께 도가사상이다. 이 사상은 culture의 다원화된 구조 속에서 상호 배척과 보완을 통해 동양사상의 발전을 이루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