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하증권 ( B/L ; bill of lading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17:43본문
Download : 선하증권 ( BL ; bill of lading ).hwp
선하증권의 theory(이론)적인 바탕으로서 선하증권의 관념과 기능, 역할, 종류를 살펴보고, 전자식 선하증권에 대하여 요약했습니다. 그러므로 선하증권을 훔친 자나 정당한 권리를 갖지 못한 자로부터 양도받은 선의의 양수인 (bona fide transferee)이라 하더라도, 그 화물의 진정한 소유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1. 선하증권의 concept(개념)
2. 선하증권의 기능
1) 권리증권 (Document of Title)
2) 화물수령증 (Receipt for Goods)
3) 운송계약의 증거 (Evidence of Contract)
3. 선하증권의 역할
4. 선하증권의 종류
1) 선적시기에 따른 분류
2) 화물사고 유무에 따른 분류
3) 수화인의 표시방법에 따른 분류
4) 유통성 여부에 따른 분류
5) 계약의 성격에 따른 분류
6) 특수 선하증권
7) 신용장에서 요구되는 선하증권
4. 전자식 선하증권 (Electronic Bill of Lading)
1) 전자식 선하증권의 개요
2) EDI에 의한 선하증권의 대체
선하증권은 영미법적 접근에 의해 그 속성 을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아 선하증권은 법적으로, 첫째 선하증권의 소지인 또는 피배서인이 선하증권이 표창하는 화물의 인도를 주장할 수 있는 권리증권이다.
선하증권은 완전유통증권은 아니더라도, 다음의 조건에서 자유로이 유통될 수 있다아 우선 선하증권에 양도가능 (transferable)하다는 `to order` 또는 `to order of … Bank` 등의 표시가 있으면 자유로이 양도될 수 있다아 그리고 선하증권의 권리가 양수인 (endorsee)에게 양도되려면 양도인의 의사가 분명히 나타나야 한다. 이는 선하증권 소지인에게 당해 화물이 인도되고, 선하증권에 배서 (endorsement)함으로써 그 권리가 제3자에게 양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 권리증권 (Document of Title)
선하증권의 기능 가운데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선하증권 자체가 화물을 대신하는 권리증권이라는 점이다. 이 점에서 선하증권은 어음과 다르다. 즉, 선하증권은 정당한 권리자에 의해 양도되어야 한다.
그러나 선하증권은 수표나 어음과 같이 완전한 유통증권 (negotiable instrument)이 되지 못한다. 셋째, 선하증권은 계약서 자체는 아니고 운송계약에 대한 우선적 증거 (prima facie evidence)이다.
요컨대 선하증권의 양도방법이 사위가 아닌 정당…(drop)
Download : 선하증권 ( BL ; bill of lading ).hwp( 61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의약보건,레포트
선하증권 ( B/L ; bill of lading )
설명
선하증권의 이론적인 바탕으로서 선하증권의 개념과 기능, 역할, 종류를 살펴보고, 전자식 선하증권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따라서 선하증권 없이는 화물을 정상적으로 인도 받을 수 없다.
실질적으로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실질적으로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둘째, 선하증권은 운송물의 수취영수증 (receipt)이며 동시에 선적화물의 수량과 외관상태에 대한 확인서이다. , 선하증권 ( B/L ; bill of lading )의약보건레포트 ,
다. 다시 말하면 선하증권은 송화인이 제3자 (신용장 거래시 매입은행 및 발행은행)에게 배서하여 선하증권을 양도하고, 제3자는 다시 다른 제3자에게 배서하여 재양도할 수 있는 유통증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