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경어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11:58본문
Download : 국어경어법.hwp
그러나 우리는 위와 같은 기술로는 {-시-}의 모든 기능이 설명(說明)될 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2) 엄마 어디 가셨니?
(3) 삼촌 오셨다. 따라서 이들이 존대된 것은 이들이 화자보다 상위의 인물이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 말은 누구에게나 정당한 것으로 인정받아 왔던 것 같다. 이들은 청자인 아들과의 대비에서 상위의 인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존대된 것이다.설명
서 론
본 론
1.국어 존대법 체계
2. 주체 경어법
3. 주체 존대법
1.주체 존대의 형태소
2.주체 존대의 대상
3 존대의 요인들
4.직접존대와 간접존대
결 론
2. 주체 경어법
주체경어법은 일반적으로 화자가 주체를 「화자 자신과 대비시켜」 높여주는, 다시 말하면 주체가 화자보다 존귀하기 때문에 성립하는 경어법이라고 기술 되어 왔다.
(1) 아저씨가 오신다.(화자:아버지, 청자:아들)
에서 존대된 것은 「엄마」와 「삼촌」이다.
에서 「아저씨」가 {-시-}로써 존대된 것은 그 「아저씨」가 이 문장을 말하는 사람보다 상위의 사람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자신을 「할아버지」(즉 「너의
할아버지」)로 객관화(3인칭화)시켰다고 하더라도 「할아버지」가 화자 자기보다 상위의 인물이라 판단해서 존대한 것이라고는 해석할 수 …(To be continued )
Download : 국어경어법.hwp( 45 )
국어경어법 , 국어경어법인문사회레포트 ,
국어경어법
,인문사회,레포트






국어경어법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사실 이 말은 적어도 틀
리지 않는다.
(4) 할아버지가 진지 잡수실 땐 일어나 앉는 법이다.
화자가 자신의 동작에 {-시-}를 쓰는 용례도 이 「대 청자」의 조건에 눈을 돌리지 않고서는 설명(說明)이 되지 않는다.(화자:할아버지, 청자:손자)
는 화자가 자기를 존대한 문장이다. 그런데 이들은 곧 화자의 부인이며 아우다. 여기서 우리는 소위 주체존대법이 주체가 「화자」보다 높을 때에만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화자보다 하위자일지라도 「청자」에게 상위자면 마찬가지로 성립될 수 있다(물론 안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체와 화자간의 존비관계뿐만 아니라 주체와 청자간의 존비관계도 주체경어법의 주요한 성립요건의 하나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