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 교육의 reality(실태) analysis과 교육방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17:24
본문
Download : 잡가 교육의 실태 분석과 교육방법론.hwp
학교 교육에서의 특정 갈래의 비중을 알아보는 데 가장 객관적인 척도라 할 수 있는 것은 교과서에 그 갈래의 작품이 얼마나 수록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III. 외국 문학의 이해
잡가 교육의 reality(실태) analysis과 교육방법론
1. 동양의 문학
II. 한국 문학의 history(역사) 와 전통
잡가 교육의 실태 분석과 교육방법론 잡가 교육의 실태 분석과 교육방법론 잡가 교육의 실태 분석과 교육방법론
.
.
2. 한국 문학의 미의식과 가치관
.
잡가 교육의 실태 분석과 교육방법론
잡가 교육의 reality(실태) analysis과 교육방법론
3. 새로운 세계와 문학의 전환
IV. 외국 문학과 한국 문학의 만남
(1) 교과서 index
I.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잡가 교육의 實態 분석과 교육방법론
다.
3. 기타 지역의 문학
4. 근대화와 전통의 재정립





잡가 교육의 reality(실태) analysis과 교육방법론
순서
인데, 이들을 하나의 장르로 묶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부터 명확하게 해결하지 못한, 그런 논란 많은 고전 문학 갈래이다. 그러다 보니 향가, 고려 속요, 시조, 가사 등의 갈래들에 비해 ‘잡가’라는 갈래 자체의 특성(特性)을 살린 교육 요소를 뽑아내기 어렵고, 이로 인해 학교 교육에서 그렇게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는 않고 있다아 하지만 분명 적게나마 교과서에서 다루어지고 있고, 여러 학자들이 독립된 갈래로 인정한다는 것은 그 나름의 고유한 요소가 나타난다는 것이므로 잡가의 교육 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갈래
잡가(雜歌)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 강점기에 직업적 소리꾼들이 도시의 유흥공간에서 부르던 노래 일체를 가리키는 명칭 성기옥 외,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 424쪽.
1. 민족 문학의 형성과 성장
1. 외국 문학의 수용과 발전
3. 한국 문학의 세계화
Download : 잡가 교육의 실태 분석과 교육방법론.hwp( 67 )
2. 국문 문학의 형성과 발전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3.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2. 서양의 문학
2. 학교에서의 잡가의 교육 present condition
잡가 교육의 reality(실태) analysis과 교육방법론
우한용 외, ‘고등학교 문학 II, 두산동아 교과서의 index는 다음과 같다. 그런데 잡가의 교과서 수록 實態를 조사해보면 전무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아 과거 5차 및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교과서에 <유산가>만이 수록된 적이 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지금에도 <유산가> 한 작품만 14종 출판사의 문학 교과서 중 유일하게 두산동아에서 나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하나에 실려 있을 뿐이다. 여기서는 두산동아 문학 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현행 학교 잡가 교육의 문제점(問題點)을 살펴보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생각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