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의 定義(정의)와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21:16본문
Download : 다국적기업의 정의와 기준_5051005.hwp
다국적기업의 定義(정의)와 기준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다국적기업의定義(정의)와기준
다국적기업의정의와기준 , 다국적기업의 정의와 기준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다국적기업의 정의와 기준_5051005.hwp( 30 )
순서
Ⅰ. 다국적기업의 정의(定義)
Ⅱ. 다국적기업의 정의(定義)기준
1. 구조적 기준
2. 성과척도기준
3. 행태적 기준
1) 국내지향형(E)
2) 현지지향형(P)
3) 지역지향형(R)
4) 세계지향형(G)
* 출처
II. 다국적기업의 정의(定義)기준
따라서 다국적기업의 정의(定義) 을 정의(定義)하는 데는 어떠한 기준이 필요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아하로니(Aharoni, 1973 : 3~16)가 제시한 구체적 · 정량적 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
자 한다.
첫째, 해외 운영대상국의 수에서 유엔은 2개국 또는 그 이상에서 활동하고 지배하는 기
업으로 정의(定義)하고 있는데, 이는 포괄적인 정의(定義) 으로서 유엔이 국제협력기구로서 국제분업의
해결에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하는 입장에서 국제투자에 대한 問題點들을 제거하기 …(투비컨티뉴드 )
설명
다. 즉 (1) 구조적 기준(Structual Criterion) (2) 성과척도기준(Performance
Criterion) (3)행태적 기준(Behavioral Criterion)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신
동수 1981 : 34-42).
1. 구조적 기준(Structual Criterion)
이는 다국적기업의 정의(定義) 을 정의(定義)함에 있어서 기업조직, 구조상의 characteristic(특성)에서 그 기준을 찾
는 경우인데, 이 기준들은
- 해외 운영대상국의 수(number of foreign operations)
- 소유권(ownership)
- 최고경영자의 국적(national! of top management)
- 투자비율(investment ratio)
의 네 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