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축적과 연구 전통의 진보: 방법론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6:34본문
Download : 지식의축적.hwp
즉, 축적은 정상과학(正常科學)의 순조로운 진행을 시사해 주며, 따라서 인식 전환의 추동력이 되는 “필수적 긴장”을 야기하지 않는 한 현존 패러다임의 혁명적 변환과 대체를 억제하게 마련이다. V. 결론: 방법론적 네트워크의 해체를 지향하여 지식의 축적은 과학의 진보와 직결될 수 없다. 또한 理論간의 논리적 연계, 혹은 concept(개념)의 체계적 함의(systematic import) 증대에 입각한 축적은 기존 理論의 전복 가능성을 감소시킴에 따라 연구 문제의 합리적 재구축(rational reconstruction)과 새로운 창출을 지향한 과학적 진보의 장애가 된다. 특히 사회과학 지식의 축적은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강력한 통제력을 행사하는 과학계 내의 방법론적 네트워크, 그리고 그를 주도하는 the gist집단의 ‘과학성’과 ‘사회적 적실성’에 대한 권위주의적 판단에 따라 그 양태가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따 이러한 맥락에서, 지식의 축적과 진정한 과학적 진보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해서는 축적의 정향과 성격을 규정하는 연구 전통 내의 사회적 권력관계를 면밀히 탐색해 볼 필요가 있따
지식축적 지식연구 방법론적 지식의연구 지식의축적 / 김웅진. 1993. “방법론의 theory 종속성과 theory 의 방법론 종속성: 연구방법론의 聖化와 지식의 化石化.” 『한국정치학회보』 27집 1호[하], 165-79.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I. 서 론
『국제정치논총』 34집 2호, 535-48.
II. 축적의 의미와 양상
설명
지식의 축적과 연구 전통의 진보: 방법론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지식축적 지식연구 방법론적 지식의연구 지식의축적 / 김웅진. 1993. “방법론의 이론 종속성과 이론의 방법론 종속성: 연구방법론의 聖化와 지식의 化石化.” 『한국정치학회보』 27집 1호[하], 165-79. ______. 1994. “문제풀이, 범법과학과 과학의 진보: 경험과학 연구방법론의 개방경로.” 『국제정치논총』 34집 2호, 535-48. ______. 1995. “과학적 발견의 정치사회적 정당화: 적실성의 足鎖와 방법론적 구속성.” 『한국정치학회보』 29집 3호, 295-310. ()
순서
III. 지식의 축적과 방법론적 네트워크
IV. 축적과 연구 전통의 진보: 쿤과 포퍼의 견해





Download : 지식의축적.hwp( 41 )
지식축적 지식연구 방법론적 지식의연구 지식의축적
______. 1994. “문제풀이, 범법과학과 과학의 진보: 경험과학 연구방법론의 개방경로.”
『한국정치학회보』 29집 3호, 295-310. ()
______. 1995. “과학적 발견의 정치사회적 정당화: 적실성의 足鎖와 방법론적 구속성.”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