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고용노동자와 관련된 영국의 입법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18:04본문
Download : 특수고용노동자와 관련된 영국의 입법례.hwp
특수고용노동자와관련된영국의입법례 , 특수고용노동자와 관련된 영국의 입법례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특수고용노동자와 관련된 영국의 입법례.hwp( 25 )
특수고용노동자와 관련된 영국의 입법례를 살펴보았습니다.
1. 개요
2. 느슨한 정이 의 근로관계
3. 1992년 노동조합및노동관계(통합)법에 따른 내용
2. 느슨한 정이 의 근로관계
예를 들어 근로계약(contract of employment) 보다 느슨한 정이 으로서 근로관계(employment relationship)에 대하여는 파산 및 권리취득에 관한 유럽연합의 지침들(Insolvency and Acquired Rights Directives)이, 노무제공자(worker)에게는 임금 및 근로시간에 관한 법령이, 전문직업인(professionals)에게는 差別(차별) 금지 법령이, 종속적인 사업주(dependent entrepreneur)에게는 보건 및 안전에 관한 법령이 적용된다 Hugh Collins 외, Labour Law, Hart, 2005, 171쪽.
특수고용 노동과 관련하여 특히 실정법상 의미 있는 법적 범주는 「노무제공자」(worker)란 정이 이다.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특수고용노동자와 관련된 영국의 입법례
특수고용노동자와관련된영국의입법례
설명


다. 노무제공자 정이 은 주로 각종 差別(차별) 금지법, 최저임금법, 근로시간법, 고용관계법 등 개별 근로조건보호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노동단체법 영역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3. 1992년 노동조합및노동관계(통합)법에 따른…(省略)
특수고용노동자와 관련된 영국의 입법례를 살펴보았습니다. 노무제공자의 정이 은 개별 법령에서 각기 따로 정이하고 하고 있는데 전통적인 근로계약에 기초한 근로자와 근로계약외의 다른 계약에 의하여 「개인이 명시적이든 묵시적이든, 구두에 의하든 서면에 의하든 계약상대방을 위하여 일체의 노무나 용역을 직접 제공하거나 행하는 자」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