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와 신라의 대립 관계에서 본 발해·당의 전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14:54
본문
Download : 발해와 신라의 대립 관계에서 본 발해·당의 전쟁.hwp
위에서 본 당과 발해의 충돌 배경은 당이 흑수말갈을 통해 발해를 견제하려 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오랫동안 돌궐의 간섭을 받아오던 흑수말갈이 돌궐의 세력 약화를 기회로 당 접근 정책을 취하였기 때문이다(사료 ㉮,㉯-③). 당이 흑수말갈에 흑수주를 설치하고 長史라는 감독 관리를 파견하였던 것이 그 좋은 예이다(㉮,㉯-②). 당과 흑수말갈의 태도에 발해의 반발은 흑수말갈을 정복하려는 계획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발해의 계획에 가장 반대하고 나선 사람은 일찌기 당에서 숙위였던 대무예의 동생 大門藝였다. 그러나 대문예의 이러한 반대가 형 무왕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대문예가 당나라로 망명하게 되자(㉮,㉯-④), 발해가 당에 대문예의 처벌을 요구하였으나, 응하지 않자 결국에는 발해가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는 이야기다.
이 때 있었던 발해와 당의 외교적 분쟁 사건에 대상으로하여는 金毓黻 이래 石井正敏, 酒寄雅志, 古畑徹 등이 관심을 갖고 연구하여 왔다. 이 사건을 통해 볼 때, 두 나라가 단순히 대문예의 정치적 망명 사건을 계기로 인해 충돌하게 되었다고 하기는 너무나 심각한 대결상을 보이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지 않나 한다.) 일본의 경우에는 동아시아의 국제적 여건이라는 측면에서 발해와 당의 충돌 사건을 비교적 정치있게 다루었는가 하면, china은 王啓忠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 공격을 반대하여 망명하였던 ʍ…(skip)
Download : 발해와 신라의 대립 관계에서 본 발해·당의 전쟁.hwp( 65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위에서 본 당과 발해의 충돌 배경은 당이 흑수말갈을 통해 발해를 견제하려 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의 반대 이유는 발해의 흑수말갈 공격이 자칫 당의 공격을 불러들여 발해가 멸망할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즉, 오랫동안 돌궐의 간섭을 받... , 발해와 신라의 대립 관계에서 본 발해·당의 전쟁인문사회레포트 ,
발해와 신라의 대립 관계에서 본 발해·당의 전쟁






설명
위에서 본 당과 발해의 충돌 배경은 당이 흑수말갈을 통해 발해를 견제하려 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아 즉, 오랫동안 돌궐의 간섭을 받...
순서
다. 특히 당이 신라의 도움을 청했던 사건은 바로 필자가 주목하고 있는 바와 같은 발해와 신라의 대립 관계를 당이 이용하고 있었다는 증거이다. 발해의 공격에 망명자였던 대문예 본인을 시켜 지키게 한 것이라든지, 거짓으로 발해에 대문예의 귀양 처리를 통보하였다가 발해에 발각되자 그 책임을 물어 鴻 少卿 李道邃와 源復을 모두 좌천시켰던 사실, 그리고 발해의 공격에 직면해서는 신라에게 도움을 청했던 것들이 그러한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