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28 04:08
본문
Download :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hwp
사람들과 직접 만나 어울리며 익혀야 하는 도덕교육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라 하겠다. 콜버그는 교육의 과업을 개인의 심리적 인지적 구조와 사회적 environment(환경) 의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되는 도덕발달의 자연적 과정을 자극하는 데 있다고 보고, 그 상호작용의 결과로 도덕성은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발전한다. 어떠한 발달에 있어서 어떠한 교육을 행하여야 할 것인가는 각 발달단계에 있어서 학습자의 심리적 characteristic(특성)과 그 의미를 함께 이해할 때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 서 론 >
설명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순서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4715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4/%5B%EA%B5%90%EC%9C%A1%EC%8B%AC%EB%A6%AC%ED%95%99%5D%20%EC%BD%9C%EB%B2%84%EA%B7%B8%EC%9D%98%20%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20%EC%9D%B4%EB%A1%A0-4715_01_.gif)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4715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4/%5B%EA%B5%90%EC%9C%A1%EC%8B%AC%EB%A6%AC%ED%95%99%5D%20%EC%BD%9C%EB%B2%84%EA%B7%B8%EC%9D%98%20%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20%EC%9D%B4%EB%A1%A0-4715_02_.gif)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4715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4/%5B%EA%B5%90%EC%9C%A1%EC%8B%AC%EB%A6%AC%ED%95%99%5D%20%EC%BD%9C%EB%B2%84%EA%B7%B8%EC%9D%98%20%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20%EC%9D%B4%EB%A1%A0-4715_03_.gif)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4715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4/%5B%EA%B5%90%EC%9C%A1%EC%8B%AC%EB%A6%AC%ED%95%99%5D%20%EC%BD%9C%EB%B2%84%EA%B7%B8%EC%9D%98%20%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20%EC%9D%B4%EB%A1%A0-4715_04_.gif)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4715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4/%5B%EA%B5%90%EC%9C%A1%EC%8B%AC%EB%A6%AC%ED%95%99%5D%20%EC%BD%9C%EB%B2%84%EA%B7%B8%EC%9D%98%20%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20%EC%9D%B4%EB%A1%A0-4715_05_.gif)
피아제가 도덕발달의 구조를 기초하였다면, 콜버그는 그 characteristic(특성)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였으며, 피아제가 도덕발달에 관한 성향을 묘사했다면, 콜버그는 그 characteristic(특성)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많은 수의 아이들이 익명성을 무기로 욕과 비방, 폭력성 글들을 올리고 있다. 교육은 인간발달과 분리해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 발달 속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콜버그의 단계별 도덕성발달 theory(이론)과 검증 그리고 그의 theory(이론)을 배경으로 교육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hwp( 23 )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理論(이론)
산업이 발달하고 기계화, 자동화를 거쳐 인터넷(Internet)이란 무한한 공간에 아이들이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교육적 행동이 效果(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맞추어서 분화한 행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래서 지금 학교에서 학생들을 사회화함으로써 그 사회가 요구하는 도덕적 규범을 내면화하고 욕망과 책임 간의 갈등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도덕발달에 대한 연구 중 가장 잘 알려진 체계적인 연구는 피아제연구와 콜버그의 연구가 있는데, 그 중 콜버그의 theory(이론)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교육심리학]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理論(이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