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영화 속의 이데올로기 진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3:09
본문
Download : 전쟁영화 속의 이데올로기 진단.hwp
1. 이데올로기 concept(개념)(더글라스 켈러의 concept(개념)을 중심으로)
1) 타자의 부정
- ‘나’는 정상적이고 다른 모든 사람도 나와 같을 것이며 따라서 무언가 나와 다른 것 또는 타자는 비정상적일 것이라고 가정- ‘나’는 이데올로기가 말하는 입장 (백인남성, 서구, 중산층 또는 상류 계급의 입장)
- 백인을 제외한 다른 인종, 계급, 집단, 그리고 성을 부차적이고 파생적이며 종속적이고 열등한 것으로 간주
※ 대립, 부정 코드사용
⇒ 지배집단 ↔ 종속집단, 우월한 집단 ↔ 열등한 집단 등
; 사람들을 차별화하고 분리함으로써 지배권력과 엘리트의 이익에 봉사하는 위계적 질서와 서열을 창조
2) 지배 체계의 일부
- 인민을 탄압하는 세력과 제도를 정당화함으로써 억압을 강화- 이데올로기 자체는 성, 인종, 계급과 같은 영역에서 추상화와 차별화의 시스템을 형성
⇒ 남성과 여성, ‘상위계급’과 ‘하위계급’, 백인과 유색인종, ‘우리’와 ‘그들’ 등등을 이데올로기적으로 분할
- “적절한” 행동과 “부적절한” 행동 간의 분리의 선을 긋고 각각의 영역에서 위계적 질서…(省略)
3) 성차별주의적이고 인종주의적인 사고
4) 이데올로기적 실천의 문제 (알튀세르 concept(개념))
설명






전쟁영화 속의 이데올로기 진단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전쟁영화 속의 이데올로기 진단전쟁영화속의이데올로기진단 , 전쟁영화 속의 이데올로기 진단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전쟁영화 속의 이데올로기 진단.hwp( 70 )
전쟁영화속의이데올로기진단
전쟁영화 속의 이데올로기 진단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