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歷史)] 한국불교 사상의 수용배경 / 한국 불교 사상의 수용 배경 『삼국유사』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9:33본문
Download : [역사] 한국불교사상의수용배경.hwp
설명
한국 불교 사상의 수용 배경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례를 바탕으로- 불...
순서
한국 불교 사상의 수용 배경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례를 바탕으로- 불...
[역사(歷史)] 한국불교 사상의 수용배경 / 한국 불교 사상의 수용 배경 『삼국유사』에
한국 불교 사상의 수용 배경 -『삼국유사』에 나오는 instance(사례)를 바탕으로- 불교는 삼국시기에 수용되었다. 가장 먼저 고구려가 소수림왕 2년(372)에 수용하고 이어 백제가 침류왕 즉위년(384년)에 수용했으며 마지막으로 신라가 법흥왕 14년(527)에 수용한 것으로 우리는 흔히 알고 있따 그러나 이는 삼국이 불교을 공인하여 국가의 사찰을 창건하게 된 때를 말하는 것이고, 삼국에 불교가 들어와 홍포된 것은 이보다 훨씬 이른 시기였다. 이러한 기준에서 볼 때, 국왕과 최고 귀족들은 같은 천강족으로서, discrimination적 존재라기 보다는 등질적 존재였다. 예를 들어 진(晋)의 지둔법사(314-366)가 이름이 전하지 않는 고구려의 도인에게 축법심의 불도를 칭송하는 편지를 보냈던 것으로 보아 372년 이전에 이미 고구려에 불교가 전해져 신앙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따 신라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삼국의 왕들은 ...
Download : [역사] 한국불교사상의수용배경.hwp( 62 )
![[역사] 한국불교사상의수용배경-117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8/%5B%EC%97%AD%EC%82%AC%5D%20%ED%95%9C%EA%B5%AD%EB%B6%88%EA%B5%90%EC%82%AC%EC%83%81%EC%9D%98%EC%88%98%EC%9A%A9%EB%B0%B0%EA%B2%BD-1178_01.gif)




역사 한국불교 사상의 수용배경 / 한국 불교 사상의 수용 배경 『삼국유사』에
레포트 > 기타
다. 이처럼 불교가 일찍부터 삼국에 전해져서 신앙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가의 공인이 늦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따 첫째, 토착 종교와의 갈등과 여기서 파생하는 정치적 갈등을 들 수 있따 토착 종교는 자연주의적 신관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면서, 지배세력층의 선민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왕권이 강화되어 국왕의 실제 권력이 귀족을 압도하게 됨에 따라, 국왕은 귀족을 초월하는 절대 권위의 확립이 필요하였다. 지배층은 토착 종교의 대표적 신앙의 대상인 천신과 지신을 그들의 직계 조상으로 꾸며서 스스로 선택받은 천강족으로 자임하며 지배자로 군림했던 것이다. 백제의 경우도 384년 이전에 불교가 전해졌을 것이다. 『삼국유사』에 전해오는 몇몇 instance(사례)를 보면, 눌지왕대(417-458)와 소지왕대(479-500)에 이미 불교가 전해져서 왕실에서까지 신앙하고 있었고 멀리 미추왕대(262-284)에 불교가 전해졌다는 기사도 있고 보면 신라 역시 공인 이전에 이미 불교가 전해져 신앙되고 있었음이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