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주도 IPv6 활성화 사업 업계 반발로 막바지 `진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1:45
본문
Download : 02090.gif
표참조
Download : 02090.gif( 13 )
정부주도 IPv6 활성화 사업 업계 반발로 막바지 `진통`
순서
라우터와 단말기 등 장비개발을 담당할 삼성전자 및 SK텔레콤 등은 政府가 예산을 줄여나가는데 장비개발 후 ISP들이 이를 구매한다는 보장 없이는 사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활성화계획은 누리망 주소고갈 문제를 해결, 누리망 이용편의성 제고, key point(핵심) 부품 국산화 등을 통해 차세대 누리망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IPv6가 이를 위한 기반기술이라는 政府의 기본입장에는 흔들림이 없다”며 “이달 안에 최종안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활성화 작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민간기업 관계자들은 IPv6 활성화 계획에 따라 3년간 소요될 예산이 당초 계획보다 161억원 줄어든 것은 민간투자 부문이 아닌 政府출연금 부문이 축소된 것으로 政府의 IPv6 육성 의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다.
이 계획에 따르면 IPv6 기반의 유무선 통합 차세대 누리망 기술 개발(장비개발)에 政府와 민간이 각각 302억원씩 총 604억원을 투입키로 하고 응용서비스 연구, 인프라 확충 및 시범서비스 운영에는 각각 59억원, 42억원, 64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정부주도 IPv6 활성화 사업 업계 반발로 막바지 `진통`
정통부는 5, 6일 이틀간 IPv6 관련 기관 및 업계 관계자들과 가진 비공개 회의에서 ‘누리망 강국 건설을 위한 IPv6활성화 계획(안)’을 통해 당초 1000억원보다 줄어든 839억원에 예산책정을 공개했다.
향후 3년간 추진될 政府 주도의 IPv6 활성화 사업이 당초 계획보다 소요예산이 줄어들 것으로 展望(전망) 되는 가운데 사업 불확실성에 대한 업계의 반발로 인해 처음 부터 적지않은 진통을 겪을 展望(전망) 이다.
설명
정부주도 IPv6 활성화 사업 업계 반발로 막바지 `진통`
레포트 > 기타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
특히 ISP사업자들은 “IPv6 서비스망 운영시 신규개발된 국산장비를 도입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소재 부문과 서비스운영 비용면에서 부담이 적지 않다”며 “이에 대한 보장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주도 IPv6 활성화 사업 업계 반발로 막바지 `진통`
또 KT·하나로통신·SK텔레콤 등 유무선 기간통신사업자들은 성공가능성을 보장할 수 없는 장비개발이나 표준화 등에는 예산이 적지 않게 책정된 반면 실질적인 활성화의 관건인 서비스 망 구축 및 운영에는 예산이 너무 적다는 불만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