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상 법률관계와 공권·공의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12:11
본문
Download : 행정상 법률관계와 공권·공의무.hwp
이는 기본권의 형태로 나타나며, 자유권·수익권·참정권 등으로 나눌 수 있다아
i) 자유권 - 헌법상의 자유권적 기본권. 위법한 공권력행사를 거부하고 배제하는 기능.
ii) 수익권 - 개인이 적극적으로 국가·공공단체 등에 대하여 작위·급부 등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헌법상 수익권으로서, 청원권, 재판을 받을 권리, 형사보상청구권, 국가배상청구권, 손실보상청구권, 교육을 받을 권리, 근로의 권리, 인간다운 생활권, 보건에 관한 권리, environment(환경) 권 등을 규정.
iii) 참정권 - 국민이 능동적으로 국가·공공단체 등의 통치작용에 참가하는 권리로서 선거권·국민투표권·공무담임권(국민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기관의 구성원이 되어 공무를 담당할 수 있는 권리).
: 특징 - 개인적 공권은 권리가 동시에 의무라는 상대성을 가지며, 그로 인하여 이전이나 포기의 제한성, 비대체성(일신전속권적 성격-> 위임 및 대리의 제한) 등이 인정되며, 관계법령에 규정된 바에 따라 행사되어야 한…(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행정상 법률관계와 공권·공의무.hwp( 18 )
행정상법률관계와공권공의무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공권과 공의무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행정상법률관계와공권공의무 , 행정상 법률관계와 공권·공의무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다.
행정상 법률관계와 공권·공의무
,법학행정,레포트
공권과 공의무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Ⅰ. 공권
1. 공권의 concept(개념)
2. 공권과 반사적 이익
Ⅱ. 공권의 분류
1. 국가적 공권
2. 개인적 공권
3. 공권의 확대경향
Ⅲ. 공의무
1. 공의무의 concept(개념) 및 분류
2. 공의무의 특수성
Ⅱ. 공권의 분류
: 공권은 국가적 공권과 개인적 공권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국가적 공권
: concept(개념) - 국가적 공권은 국가 또는 공공단체 또는 국가로부터 공권력을 부여받은 자가 우월한 의사의 주체로서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말함.
: 종류 - 목적을 표준으로 조직권, 형벌권, 경찰권, 통제권, 공기업특권, 공용부담특권, 재정권, 군정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내용을 표준으로 하명권, 강제권, 형성권, 공법상의 물권 등으로 나눌 수 있음. 형성권), 공법상물권(공법상물권) 등으로 나눌 수 있음.
: 특징 - 국가적 공권은 그 의사의 우월한 힘에 의하여 자기집행력(자기집행력), 제재력(제재력) 등이 인정되나, 법치주의(법치주의)의 요청에 따라 법률의 근거와 조리상(조리상)의 한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아
2. 개인적 공권
: concept(개념)- 개인적 공권은 개인이 국가 또는 공공단체나 그 권한을 위임받은 사인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