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 합창의 history(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3:17본문
Download : 음악 - 합창의 역사.hwp
합창의 정의 1.합창이란 합창의 역사 1. 그레고리성가와 초기다성음악 2. 중세합창음악과 종교음악사 3. 초기 16세기 음악사 4. 고전파 음악의 기초 5. 19세기 교회음악의 발달 6. 20세기의 합창음악 [합창의 정의] 1. 합창이란
다. 1.합창이란
음악,합창의 역사
설명
합창의 history(역사)
합창의 정의
4. 고전파 음악의 기초
[합창의 역싸]
Download : 음악 - 합창의 역사.hwp( 51 )





1. 그레고리성가와 초기다성음악
합창의 형태를 분류하면, 소리의 종류에 따라서 어린이 합창, 동성합창(남성합창과 여성합창), 혼성 합창으로 나뉘어지고, 성부의 수에 따라서 2부합창, 4부합창 등으로 나뉘어진다. 합창의 표준 형태는, 혼성인 경우 4부합창 동성인 경우는 남성 4부합창(테너2부와 베이스2부), 여성 3부합창(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알토)이다.
3. 초기 16세기 음악사
6. 20세기의 합창음악
합창의 형태
합창의어원
1. 합창이란
그레고리성가의 배경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그레고리성가와 초기다성음악
순서
음악 - 합창의 history(역사)
[합창의 정의]
합창음악이 서양음악사에 나타난 것은, 오르가눔이 등장한 9세기 무렵부터이다. 또, 기악 반주를 수반하지 않는 합창 양식은 〈아 카펠라〉라고도 하며, 르네상스 시대의 팔레스트리나 등이 대표적인 음악가이다. 르네상스 후기 베네치아 악파의 합창음악에서 볼 수 있는 코리 스페자티와 같이 합창대를 2군이상으로 분할한 경우에는, 복합창(2중합창, 3중합창 등)이라고 한다. 합창(chorus)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코로스(choros)에 유래하며, 무도회장, 돌림춤, 무도가, 무용수의 집단 등을 뜻했다.
2. 중세합창음악과 종교음악사
5. 19세기 교회음악의 발달
다성부 악곡의 각 성부를 여러 사람이 부르는 연주형태 및 그 집단(단일 성부의 악곡을 여러 사람이 부르는 것은 제창이라고 하고, 다성부의 작품이더라도 각 성부를 한 사람이 부르는 경우는 중창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