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구성주의 理論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07:43본문
Download :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hwp
러고프는 도제(아동들)가 전문가(교사)와 함께 실제상황에서 실제project를 풀어가는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또한 점진적으로 project해결과정에 대한 참여도를 넓혀 가면서 그들의 정체에 대한 變化를 가져오는 것을 강조한다.구성주의교수학습 ,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사범교육레포트 ,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구성주의 理論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
레포트/사범교육
2) 러고프의 도제학습 (근접발달영역을 원용하여 교사의 안내자로서의 역할의 중시)
러고프는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이라는 concept(개념)을 원용하여 사회적 참여를 통해 지식이 구성될 수 있다는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관을 보여준다. 즉 그는 도제理論(이론)을 통해 사회적 구성주의적 학습모형을 제시한다.



순서
구성주의교수학습
<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 구성주의 理論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에 대한 글입니다.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hwp( 88 )
<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에 대한 글입니다. 그들은 모든 학습이 사회적 環境(환경) 속에서 일어나야 한다고 하며, 특히 교수-학습 과정에서 성인과 어린이, 어린이와 어린이 사이의 적극적인 상호 협동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아
(1) 레지오 에밀리아의 기본원리
레지오 교육자들은 특별히 학습…(skip)
설명
다. 이러한 참여 범위의 확대 영역은 비고츠키에서의 근접발달영역이라 할 수 있다아
도제理論(이론)의 교수-학습 과정은 첫째, 전문가가 시범을 보이는 시연단계와 둘째, 문제해결을 위한 인지적 틀을 제시하는 교수적 도움제시단계 그리고 셋째,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적 도움을 중지하는 단계라는 세 단계로 압축된다 그런데 이 학습과정에서 도제가 단순히 전문가로부터 특정 기능만 학습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어느 특정 사회집단에 참여하여 그 文化를 익히고 자연스럽게 동화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러고프의 도제理論(이론)은 사회적 구성주의 理論(이론)을 바탕으로 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아 그러나 이 理論(이론)은 교사와 아동 사이의 힘(지식)의 불균형으로 인해 학습자가 교사의 인지적 과정과 틀을 그대로 답습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도제학습 모형의 성공여부는 학습자의 주도적인 노력과 교사의 기득권 양보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아
3) 말라구찌의 소집단 프로젝트 학습 (인간의 상호협동을 중시)
협동학습을 강조하는 레지오 에밀리아의 많은 교육자에게는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concept(개념)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