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익은말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5:42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익은말 연구.hwp
왜냐하면, 이들은 각각 ‘주도권을 장악하다’와 ‘해고당하다’라는 관용적 의미도 가지고 있어, 그 구성 요소의 직설 의미와는 먼 새로운 제3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렇다면, 익은말은 어떻게, 왜 생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일까?
익은말은 분명 심리적 작용에 의한 연상(association), 곧 어느 한 표현이, 그 표현의 순수한 定義(정이) …(To be continued )
순서
한국어의 익은말 연구
,인문사회,레포트
일반적으로 구절의 의미는 그 구절을 구성하고...






익은말의 형태·통사상의 특징에 이어 의미적 속성 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일반적으로 구절의 의미는 그 구절을 구성하고... , 한국어의 익은말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한국어의 익은말 연구.hwp( 53 )
다.
일반적으로 구절의 의미는 그 구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의 문자적 의미가 그대로 전체 의미로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의미적 characteristic(특성)으로 볼 때 모든 익은말은 그 구성 요소 결합인 직설 의미 아니고 제3의 새로운 관용적 의미로 나타난다.
2. 의미적 characteristic(특성)
익은말의 형태·통사상의 특징에 이어 의미적 characteristic(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 의미적 속성
2. 의미적 특성익은말의 형태·통사상의 특징에 이어 의미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익은말이 비유 표현, 특히 은유적 characteristic(특성)으로부터 기원했음을 고려한다면 익은말이 각 구성 요소의 직설 의미만으로 규정될 수 없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을 잡다’나 ‘목이 잘리다’ 등의 익은말을 보자. 이들을, 아직 이러한 관례적 행위를 알지 못하는 외국인이나 어린이가 대한다면, 그 관용적 의미와는 관계없이 ‘커튼이나 치마 등을 만들기 위해 헝겁을 접어 주름을 만든다’와 ‘살인범이 교수형을 당하다’ 등의 직설적 의미만으로 이해하여, 의사소통으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