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bupacificair.co.kr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 > cebupacificair3 | cebupacificair.co.kr report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 > cebupacificair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ebupacificair3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4 23:39

본문




Download :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hwp




{가시리}에서 찾을 수 있는 별리의 정한은, 황진이에게 와서 서정 미학의 꽃으로 피더니, 소월에게 와서 역설의 미학으로 한 차원 높은 별리의 서정을 완성하는 듯하였다.

Download :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hwp( 45 )



1997년완성




순서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
▲이별가(박목월)
▲즐거운 편지(황동규)
▲김약국의 딸들(박경리)
▲제 망매가(월명사)
▲어우야담(유몽인)
▲자장면(정진권)
▲웃음의철학(이희승)
▲토지(박경리)
▲관동별곡(정철)



① 이별가 -박목월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뭐락카노, 바람에 불려서

이승 아니믄 저승으로 떠나는 뱃머리에서
나의 목소리도 바람에 날려서

뭐락카노 뭐락카노
㉠썩어서 동아밧줄은 삭아 내리는데

하직을 말자, 하직을 말자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뭐락카노 뭐락카노 뭐락카노
니 흰 옷자라기만 펄럭거리고……

㉡오냐, 오냐, 오냐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음성은 바람에 불려서

오냐, 오냐, 오냐
나의 목소리도 바람에 날려서
(시집 {경상도의 가랑잎}, 1968)



<핵심 정리(arrangement)>
감상의 초점
이별의 정한은 한국 시가의 정서적 광맥이다. 시어의 반복적 사용으로 시상을 점층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성격 : …(省略)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1997년완성 ,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1997년 수능 언어영역 문제





1997년%20수능%20언어영역%20문제_hwp_01.gif 1997년%20수능%20언어영역%20문제_hwp_02.gif 1997년%20수능%20언어영역%20문제_hwp_03.gif 1997년%20수능%20언어영역%20문제_hwp_04.gif 1997년%20수능%20언어영역%20문제_hwp_05.gif 1997년%20수능%20언어영역%20문제_hwp_06.gif

다. 이제 목월은 삶과 죽음을, 이승과 저승을 뛰어넘는 어법을 터득하고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은 보통 단절로 인식되는 삶과 죽음을 `바람`이라는 제재를 통해 결국 삶과 죽음은 하나라는 인식으로 이어 놓고 있다 이승에서 다하지 못한 인연을 저승에서 이어나갈 것임을 믿음으로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전체 37,92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ebupacificai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