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bupacificair.co.kr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 > cebupacificair3 | cebupacificair.co.kr report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 > cebupacificair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ebupacificair3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20:42

본문




Download :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hwp





전기영동 결과 단백질은 각각의 분자량에 의해 분리된다 위쪽에 위치하는 band일수록 분자량이 크며, 밑쪽이 분자량이 작다.
레포트 > 의학계열

Download :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hwp( 45 )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

설명




생물학 실험,전기영동 실험
4. Discussion






- No cut에서 single band가 나오지 않는 이유평소 E.coli의 플라스미드의 DNA는 그림과 같이 supercoiled form으로 존재하지만, 한 쪽 strand에 nick이 생기면 supercoil이 풀어져서 open circular form이 된다 즉, 원래는 대부분 supercoiled form DNA만 보이지만 분리과정에서 작은 충격을 입어서 open circular form이 조금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9818_01.jpg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9818_02_.jpg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9818_03_.jpg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9818_04_.jpg [생물학 실험] 전기영동 실험-9818_05_.jpg


1번 lane부터 6번 lane까지 모두 5개의 sample을 각각 10㎕ 씩 loading한 것이다.
- size maker 란 것으로 단백질의 크기를 대략 알 수 있었다.



다. 스웨덴의 화학자인 아르네 티셀리우스가 1930년경에 전기영동을 분석기술로 이용하는 방 법을 처음 소개했으며, 그가 고안한 이동경계법은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특정 액체 위에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액체를 첨가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2가 지 액체의 경계가 콜로이드 입자의 전기영동속도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스웨덴의 화학자인 아르네 티셀리우스가 1930년경에 전기영동을 분석기술로 이용하는 방 법을 처음 紹介했으며, 그가 고안한 이동경계법은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특정 액체 위에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액체를 첨가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2가 지 액체의 경계가 콜로이드 입자의 전기영동속도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제일 왼쪽 레인에는 단백질의 분자량을 알고 있는 시료를 넣어 분자량의 marker로 사용할 수 있따 band가 굵게 나타나는 것들이 있는데, 이는 그에 해당하는 protein의 양이 많은 것이다. 특히 크기가 같다고 해도 20개의 아미노산의 수많은 조합으로 형성된 그것이 같은 단백질인지 아닌지 구별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no cut의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single band를 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입자가 아닌 액체가 고정된 막(膜)을 통과하는 것을 전기삼투(electroosmosis)라고 한다. 하지만 크기를 안다고 해서 그것이 무슨 단백질인지 알 수는 없다.
순서
입자가 아닌 액체가 고정된 막(膜)을 통과하는 것을 전기삼투(electroosmosis)라고 한다. (supercoiled form DNA - 아래 위치 한 진한 band / open circular form - 위쪽에 위치한 옅은 band) 실제로 같은 DNA가 supercoiled, linear, open circular form으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 들을 전기영동하면 같은 염기서열의 같은 크기 DNA라도 이동하는 거리가 제각기 다르다.
전체 37,92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ebupacificai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