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학기 현대의서양culture 중간시험처리해야할문제물 A형(푸코의 판옵티콘 槪念 설명(explana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8:21본문
Download : 20142_중과_교양4_현대의서양문화_A형.zip
5. 푸코의 판옵티콘.hwp
Ⅰ. 서 론
출처
Ⅰ. 서 론
다.
Ⅲ. 결 론
1. 푸코의 판옵티콘
1. 푸코의 판옵티콘
3. 투명사회와 감옥
6. 한병철의 투명사회에 대한 나의 제언.hwp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블루멘버그(Hans Bluemnberg), 요나스(Hans Jonas)와 같은 20세기 철학자들은 서양의 과학과 철학에서 시각(vision)이 다른 감각에 비해 줄곧 특권적인 위치를 차지해왔음을 주목했다. 최대 다수의 행복이 최대 행복이라고 요약되는 공리주의 사상은 합리성을 최대로 추구하는 것으로 감옥도 교화를 위한 하나의 수단의 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즉 감옥이야 말로 모든 것을 통제 할 수 있는 닫힌 세계에서의 이상적인 實驗(실험) 공간 이였던 것이다. 시각은 정지와 운동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고, 청각과 달리 물체의 에너지 소모 없이 감지가 가능하고, 촉각과 달리 대상과 주체 사이에 거리를 유지시켜 준다는 characteristic(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서구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이 시각을 지성(intellect)이나 이해(understanding)의 모델과 메타포로 즐겨 사용했다는 것이다.
푸코의 `판옵티콘` 개념을 설명하고 그것이 한병철의 『투명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확대되어 사용되는지 서술하시오.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푸코의 판옵티콘 2. 벤담의 판옵티콘 3. 투명사회와 감옥 Ⅲ. 결 론 참고문헌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1. 벤담의 판옵티콘.hwp 2. 판옵티콘 개념의 확장.hwp 3. 판옵티콘 제안의 배경과 역사.hwp 4. 판옵티콘의 개념.hwp 5. 푸코의 판옵티콘.hwp 6. 한병철의 투명사회에 대한 나의 제언.hwp 7. 한병철의 투명사회의 내용요약.hwp 8. 결론 작성시 참조.hwp
1. 벤담의 판옵티콘.hwp
4. 판옵티콘의 槪念.hwp
Ⅱ. 본 론
2. 판옵티콘 槪念의 확장.hwp
2014년 2학기 현대의서양culture 중간시험처리해야할문제물 A형(푸코의 판옵티콘 槪念 설명(explanation))
설명





8. conclusion 작성시 참조.hwp
- 중략 -
- 목 차 -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3. 판옵티콘 제안의 배경과 history(역사) .hwp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資料) 한글파일>
Download : 20142_중과_교양4_현대의서양문화_A형.zip( 46 )
Ⅱ. 본 론
7. 한병철의 투명사회의 내용요약.hwp
2. 벤담의 판옵티콘
본 과제(problem)물에서는 푸코의 판옵티콘 개념을 설명하고, 그것이 한병철의 투명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확대되어 사용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현대의서양문화,방통대현대의서양문화,방송대현대의서양문화,현대의서양문화과제물,현대의서양문화레포트
순서
푸코의 `판옵티콘` 槪念을 설명(explanation)하고 그것이 한병철의 『투명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확대되어 사용되는지 서술하시오.
8세기 후기에 공리주의 철학자 제레미 벤담이 감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설계한 완벽한 가시장치인 판옵티콘은 하나의 시선만으로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감옥 건물이다. 이러한 實驗(실험)적 모형의 감옥은 실행에 옮겨지지 못하고 설계로 끝났지만 몇 세기가 지나 생체를 통제하는 권력에 대한 문제를 야기한 미셀 푸코가 근대사회에서 공간이 권력의 통로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사회 제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전반에 감시 장치를 설치하는 새로운 통치 체제에 대한 대표적인 事例(사례)가 판옵티콘이라고 introduction하면서 이에 대한 담론들이 다시 활발히 거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