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개관-북한alteration(변화) 10년(1990-2000)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14:23본문
Download : 북한개관-북한변화 10년(1990-2000).hwp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북한정권 수립이후 현재까지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근년 10여년간의 북한의 대내외의 격동기 북한의 변모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북한의개관97 , 북한개관-북한변화 10년(1990-2000)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1. 도입부
2. 정치분야
1) 김일성의 사망과 김정일 체제의 출범
2) 권력구조의 變化
3) 새로운 정치이념의 등장
3. 경제분야
1) 대내외 여건 變化에 따른 경제난 심화
2) 실리지향적 경제노선 추구
4. 사회부문
○주체사상 point-세 가지 주장과 4대 지도원리
1.세 가지 사상적 기초- 첫째 인간중심주의, 둘째 계급주의, 셋째 수령론으로 이 모두를 관통하는 理論(이론)은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이다. 여기서 정치적생명체의 ‘정치적’이란 용어는 인간이 다른 인간과의 사회적 관계를 improvement(개선)하고 합리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능력을, 정치적 능력으로 표현한다
첫째, 인간중심주의- 주체사상에서 이념체계의 출발점으로 인간중심주의를 내세우고 있는데, 사람이 세계의 주인으로서 특별한 지위와 역할을 차지하는 것은 자주성과 창조성 및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인간은 왜 다른 동물과 다르게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을 가지게 되는가? 이 세 가지 속성은 사회 歷史적으로 형성되고 발전되는 사람의 속성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답이다. 주체사상은 이러한 사회유기체론을 밑바탕에 깐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을 바탕으로 세워 놓은 이념체계이다.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는 인간개조사업을 통하여 공산주의적 인간으로 다듬어져서 다른 사람…(drop)
설명
북한의개관97
Download : 북한개관-북한변화 10년(1990-2000).hwp( 24 )
북한개관-북한alteration(변화) 10년(1990-2000)
다. 반면, 사람을 개미나 벌처럼 집단의 일원으로만 살 수 있고 또한 집단이 부여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때만 존재가치를 가지는 존재라고 본다면 사회가 개개인에 선행하는 1차적 존재로 인식된다된다. 주체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중심주의란 개개인을 세계의 주인 내지는 歷史발전의 주역으로 본다는 것이 아니고, 집단으로서의 인간을 주인, 주역으로 본다는 생각이다.,인문사회,레포트
북한정권 수립이후 현재까지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근년 10여년간의 북한의 대내외의 격동기 북한의 변모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는 개개인의 존재가치는 전체 생명체를 위하여 자기에게 주어진 과업을 제대로 하는 것이며 이렇게 제 과업을 할 때의 개인과 전체의 관계를 자유라한다. 따라서 사회에 대한 평가는 개인에게 얼마나 유익한 봉사를 하는가로 이루어지게 될 뿐이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인간을 독립된 자기 완성적 존재로 보느냐(자유주의),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느냐(전체주의이념) 에 따라 사회에 대한 평가가 달라짐. 자유주의적 인간관에서 출발하면 사회란 자유의지를 가진 개인들이 명시적, 묵시적 계약으로 만들어 낸 2차적 집단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