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외이 귓바퀴, 외이도 ,중이 고막, 청소골 내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초음파의 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0:28본문
Download : 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외이 귓바퀴, 외이도 ,중이 고막, 청소골 내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초음파의 이용.ppt
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외이 귓바퀴, 외이도 ,중이 고막, 청소골 내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초음파의 이용






귀,구조와,소리,인식,외,귓바퀴,외이도,중,고막,청소골,내,달팽이관,전정기관,반고리관,초음파,이용,자연과학,레포트
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외이 귓바퀴, 외이도 ,중이 고막, 청소골 내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초음파의 이용
순서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
(1) 귀의 구조
귓바퀴
외이도
고막
청소골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
가. 외이 : 귓바퀴, 외이도
귓바퀴
주로 연골로 형성
소리를 모아준다
외이도
소리가 고막까지 지나는 통로(길이 2.5cm)
안쪽에는 털과 샘으로 구성
나. 중이 : 고막, 청소골
고막
0.1mm의 얇은 막
음파에 의해 진동
청소골
3개의 작은 뼈로 구성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킴
다.
② 반고리관 : 제자리에서 맴돌면 어지러움을 느낀다.
`문제` 소리의 전달 경로 일부를 나열한 것이다.
③ 전정기관 : 청세포가 분포하여 청각에 관여한다.
④ 고막 : 음파에 의해 진동한다.
전달 순으로 기호를 쓰시오.
(A) 고막이 진동
(B) 청소골에서 진동이 증폭됨
(C) 청신경 흥분
(D) 달팽이관의 청세포 흥분
(A)
(B)
(C)
(D)
(3) 초음파
가청 진동수 : 사람은 보통 20~20,000Hz 사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아
일반 언어의 진동수 : 100∼3,000 Hz
초음파 : 20,000 Hz 이상인 소리
초저음파 : 20 Hz 이하인 소리
(4) 초음파의 이용
초음파 세척기 : 초음파를 사용하여 보석, 렌즈, 시계, 수술용 기구 등을 세척
초음파 진단 장치 : 태아의 모습 확인
어군 탐지기 : 물고기의 위치 확인…(省略)
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외이 귓바퀴, 외이도 ,중이 고막, 청소골 내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초음파의 이용 , 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외이 귓바퀴, 외이도 ,중이 고막, 청소골 내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초음파의 이용자연과학레포트 , 귀 구조와 소리 인식 외 귓바퀴 외이도 중 고막 청소골 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 초음파 이용
Download : 귀의 구조와 소리의 인식,외이 귓바퀴, 외이도 ,중이 고막, 청소골 내이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초음파의 이용.ppt( 79 )
다. 내이 :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
달팽이관
청세포 분포
평형기관
전정기관 : 위치 감각
반고리관 : 회전 감각
(2) 소리의 전달 과정
음파
외이도
고막
청소골
달팽이관
(청세포)
청신경
대뇌
귀를 막아도 소리를 들을 수 있은 이유는
소리는 고체, 액체, 기체에서 모두 전달되기 때문일것이다
소리가 머리뼈를 진동시켜 전달된다
`문제` 귀의 각 부분에 대한 설명(說明)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청소골 : 음파를 증폭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