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16:48본문
Download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hwp
또 서민계층에서 주로 부른 유행가와 같은 성격의 작품들임을 보여주고 있따 따라서 이러한 견해들은 잡가의 범주 및 그 담당층과 인기도에 관해서 매우 적절히 지적해 주고 있는 것이다.〔…〕 高晶玉, 朝鮮民謠硏究, 首善社, 1949, p.41-43 참조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Download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hwp( 42 )
.
설명
순서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이 雜歌는 물론 巷間에서 잡되게 부르는 노래임은 틀림없으나〔…〕맹꽁이타령, 새타령, 성주풀이, 앞산타령,〔…〕老處女歌, 寡婦歌,〔…〕” 金思燁, 改稿國文學史, 正音社, 1956, p.505 참조
잡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출발되었다. 그러나 연구 수준은 아직 개설적인 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가 있따 다만 잡가가 국문학사에서 결코 배제할 수 없는 문학양식임을 투시한 결과, 잡가에 대한 전반적인 윤곽을 일찍부터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국문학 초기의 잡가 논의는 매우 선구적이라고 할 수 있따
가령,
.
위의 세 인용문은 국문학연구 초기의 잡가에 대한 단편적인 견해들을 대변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바, 잡가의 전반적인 윤곽을 잘 보여주고 있따 즉 雜歌(혹은 俗歌)라는 것은 기존의 장르, 즉 時調라든가, 歌辭장르가 아닌, 이를테면 <유산가>, <적벽가>, <난봉가>, <영변가>등의 작품을 뜻하며 그런데 이들 노래는 樂曲上으로 이미 그 명칭을 지니고 있따 즉 <수양산가>, <춘면곡>, <어부사> 등은 12가사(歌詞)에 해당되며 <潚湘八景> <楚漢歌> 등은 단가(短歌)에, <유산가>, <적벽가>등은 12잡가에, <영변가>, <흥타령>, <새타령> 등은 경기․서도․남도 잡가에, <맹꽁이타령>은 휘모리잡가에 해당되는 노래이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대체로 잡가의 윤곽 정도만을 지적했을 뿐 구체적으로 진전된 논의는 아니라고 할 수 있따 예를 들면 잡가가 아닌 작품도 잡가로 명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노처녀가>, <과부가> 등은 서민가사에 해당되며, 또 <어부가>, <양양가> 등은 漢詩에 국문 吐만 붙였을 뿐 한시장르에 해당되는 작품이고 <처사가>는 양반가사와 다름없는 작품인데도 불구하고 잡가로 간주하고 있는 등 우선 장르 처리상의 drawback(걸점)을 노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잡가의 구체적인 담당층이라든지 그 가창시기에 대한 해명작업도 유보하고 있거나 그 윤곽정도만 제시 해준데서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首陽山歌, 潚湘八景, 孔明歌, 赤壁歌,〔…〕楚漢歌,〔…〕遊山歌, 春眠曲,〔…〕處士歌, 漁父歌, 農夫歌,〔…〕等等 流行歌로는 실로 어마어마한 曲名들이다. 한편 여기서 12歌詞라 함은 일반적인 歌辭 concept(개념)과는 다른, 악곡적 측면의 concept(개념)이다. 이것은 도리어 音樂의 部門에 속할 문제가 아닌가 싶은데〔…〕” 趙潤濟, 國文學槪論, 東國文化社, 1955, p.115-116 참조; 여기서 <赤壁歌>는 판소리의 적벽가가 아닌 雜歌의 적벽가를 의미함.




다.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俗歌는 그것은 民謠도 아니고 歌辭도 아닌, 現在의 流行歌의 一翼을 形成하는 노래라 할 것이다. 물론 양적인 면에서는 아직까지 논의가 소략한 상황이랄 수 있따 그러나 종전과 달리 잡가의 범주를 보다 더 구체화시켰
“雜歌는〔…〕이를테면 遊山歌, 二八靑春歌, 赤壁歌라든지 하는 一群의 歌詞와 또 난봉가, 寧邊歌, 興打令 等類의 歌詞를 여기 雜歌라 부르고자 하는데〔…〕雜歌는 언제 어떻게 發達하였는가 하는 것은 文學으로는 잘 알 수 없다.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그러나 최근에 오면서 잡가 연구는 그 답보상태를 벗어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