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영낭자전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4:07본문
Download : 숙영낭자전 연구.hwp
⑨ 숙영의 시체는 움직이지 않고, 목에 꽂힌 칼도 빠지지 않으며, 썩지도 않는다. 판각본의 경우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모두 경판본으로서 28장본·20장본·18장본·16장본이 있는데 이들 중 18장본은 입수하지 못했다.
⑧ 시녀 매월의 모함에 의해 의심받은 숙영은 결백을 주장하며 자살한다.숙영낭자전 , 숙영낭자전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숙영낭자전을 읽은후 난 뒤의 감상에 대하여 쓴 글입니다.
⑪ 백공은 선군을 임소저와 혼약을 맺게 하나, 선군은 이를 거부한다.
⑬ 선군의 꿈에 숙영이 나타나 옥황상세의 명에 의해 다시 인연을 맺게 되었음을 알려준다.
3. 이본
숙영낭자전은 개성이 뚜렷한 수많은 이본의 형태로 전해 오면서 거대한 이본군을 형성하고 있기에, 지금까지 발굴된 모든 이본을 대상으로 삼는다.
각 이본들은 후반부의 사건의 차이에 따라 4이본군으로 나뉜다. 이본의 대부분은 필사본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숙영낭자전 연구
설명
2. 작품개요
① 안동 거주 선비 백상군의 아들 선군은 꿈에서 선녀인 숙영을 만난다.
⑦ 백공은 숙영을 의심한다.
④ 선군과 숙영은 3년간 떨어져야할 천연을 어기고 밤을 같이 지새운다.
⑤ 선군과 숙영은 가연을 맺고 부부가 된다
⑥ 선군은 과거를 보러 가나, 숙영을 못 잊어 밤에 되될아와 사랑을 속삭인다.
⑫ 선군이 돌아와 매월을 장문하여 진실을 밝히고, 매월을 처단한 후, 하인 돌을 유배 보낸다.
⑭ 과연 그날 죽었던 숙영이 소생한다.
⑩ 선군은 장원급제하고 돌아오던 중 숙영이 억울하게 죽는 꿈을 꾼다.
⑮ 선군은 임소저를 부실로 삼고, 자녀 번창하여 행복을 누리다가 상천할 기약이 되어 삼인이 모두 같은 날 승천한다. 이 작품은 필사본, 반각본, 활자본등으로 전해 온다.
다.
③ 숙영은 꿈에 찾아와 옥련동에서 만나자는 몽중의 약속을 한다. 제 1이본군(필사본)은 숙영낭자의 장례→재생→시련→재회의 양상을 띠는데 비해, 제 2이본군(필사본)은 장례→재생→재회로 끝나고, 제 3이본군…(drop)
Download : 숙영낭자전 연구.hwp( 80 )
숙영낭자전
레포트/인문사회
숙영낭자전을 읽고 난 뒤의 감상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② 선군은 숙영을 연모하다가 병이 든다. 1915년 경부터 많이 간행된 활자본은 경판 16장본을 저본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6회의 회장체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