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 비판의 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0 13:56
본문
Download : 김유신 비판의 글.hwp
김유신이 신라 사회의 주역이 된 것 자체가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주요한 요인의 하나였다.망국민의 후예 물론 백제가 통일했으면 오늘날 우리의 국경선이 日本(일본)까지 이를지 모르고, 고구려가 통일했으면 만주대륙까지 이를지 모른다는 점에서 아쉬움이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승자에겐 승리의 이유가 있고 마찬가지로 패자에겐패배의 Cause 이 있는 법이다. 만노군은 신라 5소경의 하나였던 중원경(충주)에 속해 있었는데, 중원경…(skip)
김유신(金庾信)은 흔히 삼국통일의 영웅으로 인식되지만 신라의 통일이불완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허락 받지 못한 결혼이었던것이다. 유신의 아버지서현이 진흥왕의 형제인 숙흘종(肅訖宗)의 딸 만명과 `야합(野合)`하여 김유신을 낳아야 했다는 사실이 이를 말해준다.
김유신비판하는글
특히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후 신라의 삼국통일은 우리 민족사를 망친 주범으로까지 비판받기도 했다.
김유신이 서라벌이 아닌 지금의 충북 진천 지역인 만노군(萬弩郡)에서어린 시절을 보내야 했던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김무력은 백제와 전쟁 때 많은 공을 세워 1등급 각간(角干)까지 승진했지만 여전히 서라벌 출신 진골들에게 업신여김을 당했다.
Download : 김유신 비판의 글.hwp( 11 )
김유신 비판의 글
김유신(金庾信)은 흔히 삼국통일의 영웅으로 인식되지만 신라의 통일이불완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김유신은 진골이었지만 망국민의 후예였다. 김유신비판하는글 , 김유신 비판의 글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자연과학,레포트
순서
레포트/자연과학




다. 그의 증조부는 532년 법흥왕에게 나라를 빼앗긴 금관가야 국왕 김구해였는데, 그의 막내아들 김무력이 유신의 조부였다.
민족의 발전을 위해 신라가 죽고 백제나 고구려가 통일했어야 했다는 논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