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듀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19:55본문
Download : 존 듀이.hwp
2) 프래그마티즘 (Pragmatism)
관념이나 사상을 행위(그리스어로 pragma)와의 관련에서 파악하는 입장으로 실용주의(實用主義)라고 번역된다 1870년대에 C.S.퍼스에 의해 주장되었고 19세기 말에 W.제임스에 의해 전 세계에 퍼졌으며 20세기 전반(前半)에 와서 G.H.미드와 J.듀이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었다.dewey , 존 듀이공학기술레포트 ,
다.
③교육은 경험의 재구성의 작용이다.
듀이는 이러한 프래그마티즘의 철학을 일상생활의 문제해결과 결부시켰다.
②교육은 성장이다.
3) 유아는 지식을 재구성한다.






순서
존 듀이에 대한 글입니다. 따라서 관념은 상황을 바꾸기 위한 도구로 취급되었다. 듀이는 관념의 의미는 그것이 초래하는 결과에 있다고 하는 퍼스나 제임스의 주장을 더욱 발전시켜 관념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명확한 상황을 결과로서 낳게 하기 위한 experiment(실험)적인 가설(假說)이라고 생각하였다.
- 교육과 민주주의는 서로 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따 그러므로 교육은 어디까지나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 아동의 발달이란 단지 학교 성적뿐만 아니라, 그의 육체적·지적·도덕적·사회적 발달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기록하여 지도의 중점을 아동 한사람 한사람의 인간 전체적 발달에 두어야 한다.
5) 교육은 교육적 실천을 위한 안내이다.
4) 지식은 삶의 문제이다.
2) 듀이가 말하는 교육원리를 기준으로 한 교육방법의 property(특성)
- 흥미 중심성, 활동 중심성, 놀이 중심성, 작업 중심성
3) (experiment(실험)학교를 통한) 교육에의 적용
-‘experiment(실험)학교’(The Laboratory School) =‘Dewey School’
4. 유아교육적 함의
1) 유아는 능동적인 주체이다.
(2) 듀이가 말하는 프래그마티즘
듀이의 사상은 프래그마티즘이 그 바탕을 두고 있따 이는 관념변증법의 초월주의에 입각해서 선험적인 것을 전제로 하여 사물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과 경험에 입각하여 진리를 experiment(실험)하고 확실성을 찾고자하는 탐구의 철학이다. 즉, 선이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인간의 복리와 사회의 개조를 위하여 도구의 역할을 할 때에만 그 선은 가치를…(省略)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존 듀이에 대한 글입니다.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존 듀이.hwp( 32 )
dewey
존 듀이
1. John Dewey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 Dewey와 그의 사상
1) 진보주의 (Progressivism)
2) 프래그마티즘 (Pragmatism)
3) 도구주의 (Instrumentalism)
4) 구성주의 (Constructivism)
3. Dewey의 교육사상
1) 교육 원리
①교육은 생활이다.(전인교육)
- 아동의 육체적 발달의 effect이 미치는 조건에 유의하며 교육의 제1목표(目標)를 건강 증진에 두어야 한다.
④교육은 사회적 과정이다.
2) 유아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한다.
하지만 진보주의는 사회복지理論(이론)을 요약하는 데 실패하였다, 아동중심의 학교 원리는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다,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방종하는 불량아를 길러낼 가능성이 많다, 아동중심 교육이 너무 지나쳐 목표(目標)설정 및 문제해결능력이 상실되었다는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