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19:01본문
Download :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hwp
또한 그러한 교재들이 교사 중심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본다. 물론 학습자의 국적, 나이, 한국어를 배우는 목적 등 학습자의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 방법은 다양할 것이고, 이 때문에 교재 편찬의 통일성이 결여될 수가 있다고 우려할 수 있따 그러나 학습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배울 때 가장 잘 배운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학습자의 요구 조사는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재 편찬이 의사 소통 중심과 학습자 중심의 학습 방법을 표방하고 있다면 교사의 직관에 근거하여 교재를 편찬하기보다는 좀더 객관적인 data(資料), 즉 학습자의 학습 목적, 선호하는 학습 방법 등에 기초하여 교재가 편찬되어야 할 것이다.
…(To be continued )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교사와학습자의학습방 ,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사범교육레포트 ,
교사와학습자의학습방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
다. 이러한 기초 정보가 계속 축적된다면 새로운 교재 편찬에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학습 혹은 교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습자 중심의 교재라면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와 목적이 반영되어야 하는데 과연 얼마나 많은 교재들이 교재 편찬에 앞서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分析(분석), 검토하는 단계를 거쳤을까 하는 것은 의문이다.
이 논문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단지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발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차이점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이며 이를 학습 data(資料)의 편찬이나 수업 진행에 어떻게 적용하여야 할 것인가를 제안하고자 한다.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hwp( 46 )
그럼 자료(data)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1. 들어가는 말
최근 몇 년 사이에 문법 중심의 교수에서 탈피하여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를 모색하는 노력이 많이 엿보이는데 그러한 예들이 새로운 한국어 교재 편찬에서도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좀더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초급과 고급 한국에 있는 한국어 교육 기관들은 보통 한국어 숙달도 등급을 1급에서 6급까지로 나누고 있는데, 여기서 초급은 1급과 2급에, 고급은 5급과 6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 급은 1주일 20시간의 10주 프로그램(program]) 200시간을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