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방언과 안동 방언 성조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3:28본문
Download : 창원방언과안동방언성조의비교.hwp
창원 방언 는 필자 자신의 것으로 하고, 안동 방언의 는 지난해 시월 이후에 조사한 것이다. 3장에서는 분절음운론에서 최소한 음운론적 층위와 중간 표상의 층위, 그리고 음성학적 층위를 구…(생략(省略))
순서
Download : 창원방언과안동방언성조의비교.hwp( 90 )






설명
1. 머리말, 2. 자음과 모음 및 그 적는 법, 3. 성조 표상의 층위, 4. [고, H], [중, M], [저, L]의 기준, 5. 성조, 성조형, 중화 규칙, 6. 첫 성분 평성형화, 7. 방점형과 성조형, 8. 음조형과 그 실현 규칙, 9. 상성음조형의 음조적인 차이, 10.평성형 어절과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11.평성형 어절과 음거형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12.맺음말, , FileSize : 566K , 창원 방언과 안동 방언 성조의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창원방언 안동방언 순행평성동화 중화 성조
창원 방언과 안동 방언 성조의 비교
1. 머리말, 2. 자음과 모음 및 그 적는 법, 3. 성조 표상의 층위, 4. [고, H], [중, M], [저, L]의 기준, 5. 성조, 성조형, 중화 규칙, 6. 첫 성분 평성형화, 7. 방점형과 성조형, 8. 음조형과 그 실현 규칙, 9. 상성음조형의 음조적인 차이, 10.평성형 어절과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11.평성형 어절과 음거형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12.맺음말, , filesize : 566K
창원방언,안동방언,순행평성동화,중화,성조,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장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종래에는 를 동사와 명사에서 고루 선택하였고, 다른 학자들의 논저에서 이 분야의 연구는 명사가 주된 였다. 그러나 필자는 최근에 어절 단위보다는 문장 에 무게를 두고 있기 때문에, 문장 구조의 core적인 기능을 하는 풀이씨의 성조를 주된 로 택하였다.
1. 머리말
2. 자음과 모음 및 그 적는 법
3. 성조 표상의 층위
4. [고, H], [중, M], [저, L]의 기준
5. 성조, 성조형, 중화 규칙
6. 첫 component 평성형화
7. 방점형과 성조형
8. 음조형과 그 실현 규칙
9. 상성음조형의 음조적인 차이
10.평성형 어절과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11.평성형 어절과 음거형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12.맺음말
이 연구는 경남 창원 방언과 경북 안동 방언의 성조(tones) 및 성조형(tonological patterns)의 체계와 그 음조적인 특징들을 대조적으로 analysis(분석) ․기술하고, 나아가서는 이 두 방언의 체계적인 성조 변동 현상들과 그 현상들에서 도출되는 성조형의 대응 관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