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상 선택적근로시간제에 대한 법적검토 -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0:40본문
Download : 근로기준법상선택적근로시간제에대한법적검토.hwp
1) 근로자 대표
근로자대표란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조가 있는 경우에는 그 노조, 이러한 노조가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말한다.
동 제도는 근로자가 자율적으로 근로시간의 시업 및 종업시각을 정함으로써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고 출퇴근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⑥ 표준근로시간
사용자와 근로자대표가 합의하여 정한…(drop)
근로기준법상 선택적근로시간제에 대한 법적검토 -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검토
순서
근로기준법상 선택적근로시간제에 대한 법적검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④ 의무근로시간대
근로자가 의무적으로 출근하여 근로하여야 할 시간대를 정한 경우에는 그 시간대를 명시하여야 한다.
③ 정산기간에 있어서 총근로시간
정산기간을 mean or average(평균) 하여 1주간의 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Ⅱ.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 요건
1. 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시업 및 종업시간을 근로자의 결정에 맡기기로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있어야 한다.
⑤ 선택 근로시간대
근로자가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는 시간대로서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에서 이를 명시하여야 한다.
2.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가 있어야 한다.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근로기준법상,선택적근로시간제,법적검토,법학행정,레포트
설명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근로기준법상 선택적 근로시간제란 당사자가 일정한 정산기간 동안의 총근로시간을 결정한 다음, 근로자가 근로시간의 처음 과 종료를 일정한 시간대에서 자유로이 선택하도록 하는 근무시간제도를 말한다.
비교되는 재량적 근로시간제도는 주로 전문직 근로자에게만 인정되며 근로자가 근로시간의 양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선택적 근로시간제도는 그 대상이 주부 등 비전문적 근로자에게도 인정되며 출?퇴근시간 등의 근로시간 배분과 관련된 제도이다.
2) 서면합의의 내용
① 대상근로자의 범위
연소근로자를 제외하고는 자유로이 그 범위를 정할 수 있다
② 정산기간
정산기간은 1월 이내의 일정한 기간이어야 한다. , 근로기준법상 선택적근로시간제에 대한 법적검토 -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로기준법상 선택적근로시간제 법적검토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근로기준법상선택적근로시간제에대한법적검토.hwp( 33 )
근로기준법상 선택적근로시간제에 대한 법적검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