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7:01
본문
Download : 20181_핵심요약노트_국문3_고전소설강독.pdf
- 가전체, 전기체 소설의 시대
- 인간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이야기
- 군담계 영웅소설이 독서계의 대유행을 가져옴
- 국문소설 등장
① 소설양식의 원초적 뿌리는 이야기 문학
제2장 단편소설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3.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 신화: 신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이야기(단군신화, 그리스로마신화 등)
제2절 판소리계 소설
- 전기체를 벗어난 전기적 서사체가 중심을 이루던 시기(사실적 전개)
제3장 장편소설
3. 고소설의 유통방식
- 귀족문학과 서민문학의 장벽을 허물면서 비롯된 소설 장르도, 한문소설인 상층 소설이 임병 양난 이후 서민적 국문소설로 중심이 옮겨 감으로써 본격적 소설 시대가 펼쳐지게 됨
제1장 총론
⑤ 국문소설의 출현
- 민담
3. 박씨전(朴氏傳)
2. 고소설의 유형분류
① 생성기
- 사실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 증거물이 있음
- 허구성을 바탕으로 함
2) 고소설의 발전과정
7. 금방울전
- 김시습, 허균, 김만중, 반지원 등과 같은 창의성 높은 작가의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크게 기여함
② 서사문학의 초기 형태인 구비 전승적인 이야기는 ‘설화’로 통칭되고 있음
5. 양반전(兩班傳)
1. 춘향전(春香傳)
1. 한국 고소설의 형성배경과 발전과정
제1장 총론 1. 한국 고소설의 형성배경과 발전과정 2. 고소설의 유형분류 3. 고소설의 유통방식 제2장 단편소설 1. 금오신화: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2. 기재기이: 최생우진기(崔生遇眞記) 3.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4. 삼설기(三說記) : 삼사횡입황천기(三士橫入黃泉記) 5. 양반전(兩班傳) 제3장 장편소설 제1절 창작계 소설 1. 홍길동전(洪吉童傳) 2. 최척전(崔陟傳) 3. 박씨전(朴氏傳) 4.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5. 구운몽(九雲夢) 6.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 7. 금방울전 8. 이춘풍전(李春風傳) 제2절 판소리계 소설 1. 춘향전(春香傳) 2. 배비장전(裵裨將傳)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 본격적인 고소설을 마련하는 생성시기(허구적 전개)
- 전설
제1절 창작계 소설
4. 삼설기(三說記) : 삼사횡입황천기(三士橫入黃泉記)
③ 설화문학
2. 배비장전(裵裨將傳)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고전소설강독,고전소설강독시험,방통대고전소설강독,방송대고전소설강독,고전소설강독핵심
5. 구운몽(九雲夢)
Download : 20181_핵심요약노트_국문3_고전소설강독.pdf( 74 )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1. 홍길동전(洪吉童傳)
1. 금오신화: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제1장 총론
2. 기재기이: 최생우진기(崔生遇眞記)
설명
2. 최척전(崔陟傳)





② 성숙기
- 흥미를 강조한 이야기
1) 고소설의 형성배경
- 허균, 김만중 등의 작가가 소설의 흐름을 크게 발전시킴
- 금오신화, 최치원전
순서
6.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
- 역사성을 토대로 함
1. 한국, 고소설의 형성배경과 발전과정
8. 이춘풍전(李春風傳)
④ 개성적인 작가군의 등장 : 고소설의 4대 작가
- 중략 -
4.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