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연대사와 논의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13:19
본문
Download : `청산별곡` 연대사와 논의쟁점.hwp
나라안팎의 사정이 여의치 않았던 시기이기도 했고, 또 그러한 이유로 작품에 대한 깊이 있고 활발한 分析(분석)조차 이루어 진 것이 없었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학자들은 작품의 있는 그대로, 다시 말해 text에 입각한 分析(분석) 및 연구가 활발했다.
2.연대사
①제 1 기 : 1940,50년대
40,50년대에는 어떤 문학작품을 막론하고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던 시기이다.
설명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원 문
2. 연대사
①제 1 기 : 40, 50년대
②제 2 기 : 60년대
③제 3 기 : 70년대
④제 4 기 : 80년대
⑤제 5 기 : 90년대-현대
3. 여음의 연구
4. 논의 쟁점
Ⅲ. 결 론
Ⅰ. 序 論
<청산별곡>은 고려가요중 가장 빼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 만큼 지금까지 다각도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
** 주요어석 **
·살어리랏다
①‘살어리’의 變化과정 및 원인(原因)은 이렇다.
그러나 어석에 대한 해석은 따로 정리(整理) 하지 않고자 한다. 그러나 오랜 세월동안 문자로 정착됨 없이 구전되어 오다가 훈민정음이 제정된 근세조선에 와서야 기록으로 남게되 된데다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에 실린 본문외에는 문헌 가 없다는 것과 표현이 함축·비유적인 것이 많아 그 해석에 서로들 견해가 다르다는 것과 어구에 대한 어석상의 판단기준이 없다는 것등의 이유로 작품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집약되지 못하고 있다아
여기에서는 필자의 특별한 견해를 넣기 보다는 각 시대별로 주류를 이루었던 학자들간의 견해를 살펴보는 것을 토대로 연구사를 서술하고 논의의 쟁점을 정리(整理) 하고자 한다.
,인문사회,레포트
`청산별곡` 연대사와 논의쟁점
Download : `청산별곡` 연대사와 논의쟁점.hwp( 55 )
청산별곡의 연대사와 논의 쟁점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청산별곡완결판 , `청산별곡` 연대사와 논의쟁점인문사회레포트 ,
청산별곡완결판
다. 왜냐하면 연구사를 정리(整理) 할 때 각시대 별로 해석되는 어석이 다르므로 어느 것이 정확한 것인지에 마주향하여 는 우리가 관여할 문제가 아니란 생각에서이다. 우리는 몇몇 안 되는 학자들의 견해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인정받았던 양주동의 연구(양주동<여요전주>,을유culture사,1947)를 확인해 보았다. 그의 연구내용의 特性(특성)을 살펴보면 문헌 의 수집, 분류, intro 와 시가 장르의 정리(整理) , history(역사) 적 체계 수립, 작품의 어학적 주석이 주류를 이루었다. ‘사럴’이 연철되어 ‘사러리’가 되고 다시 오철…(dro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청산별곡의 연대사와 논의 쟁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더불어, 양주동의 ‘여요전주’가 주를 이루지만, 조윤제의 ‘조선시가사강’과 우리어문학회의 ‘국문학개론’도 유용한 활용을 했음을 알려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