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선교장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3 15:14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선교장에 대해서.hwp
만석꾼 곳간채에는 항상 곡식이 가득하여 흉년에는 창고를 열어 이웃에게 나누어주며 베푸는 집안의 표상이 되기도 하였다.
입구에는 인공 연못을 파고 정자를 지어 활래정(活來亭)이라 이름을 짓고 연못과 함께 경포호수의 경관을 바라보며 관동팔경 유람하는 조선의 선비와 풍류들의 안식처가 되었다.
2. 선교장의 기원
조선조 효령대군의 11세손인 가선대부 이내번(李乃蕃)은 충주에서 살다가 가세가 기울자 어머니(안동 권씨)와 함께 외가 근처인 강릉 경포대 쪽에 옮겨와 살았다.
99칸의 전형적인 사대부가의 상류 주택으로서 1965년 국가지정 중요 민속자료(data) 제 5호로 지정되어 개인 소유의 국가 文化(culture) 재로서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따
300여년동안 그 원형이 잘 보존된 아름다운 전통가옥으로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미를 활달하게 포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돈후한 인정미를 지닌 후손들이 지금까지 거주하는 살아숨쉬는 공간이다.
사회과학,선교장,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사회과학] 선교장에 대해서
[사회과학] 선교장에 대해서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사회과학] 선교장에 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선교장 대해서
![[사회과학]%20선교장에%20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4%A0%EA%B5%90%EC%9E%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사회과학]%20선교장에%20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4%A0%EA%B5%90%EC%9E%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사회과학]%20선교장에%20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4%A0%EA%B5%90%EC%9E%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사회과학]%20선교장에%20대해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4%A0%EA%B5%90%EC%9E%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4.gif)
![[사회과학]%20선교장에%20대해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4%A0%EA%B5%90%EC%9E%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5.gif)
Download : [사회과학] 선교장에 대해서.hwp( 73 )
[사회과학] 선교장에 대해서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어느 정도 재산이 불어나면서 좀 더 넓은 집터를 물색하던 중, 한 떼의 족제비가 나타나 일렬…(투비컨티뉴드 )
순서
다.
예전에는 경포호수를 가로질러 배로 다리를 만들어 건너 다녔다하여 선교장 이라고 지어진 이름이지만 그 호수는 논이 되었고 대장원의 뒤 야산에 노송의 숲과 활래정이 연꽃, 그리고 멀리보이는 백두대간 사계절 alteration(변화) 의 모습을 바라보는 운치는 한국 제일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한국의 유형 文化(culture) 재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뿐 아니라 강릉 文化(culture) 를 대표하며 경포 호수권의 중심적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전통文化(culture) 시범도시인 강릉시의 文化(culture) 관광 자원으로서 부각 되었다.
선교장은 300여년전 안채 주옥을 처음 으로 동별당, 서별당, 연지당, 외별당, 사랑채, 중사랑, 행랑채, 사당들이 지어졌고 큰대문을 비롯한 12대문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대장원을 연상케 한다.
1.선교장의 歷史(역사)
효령대군(세종대왕의 형)의 11대손인 가선대부(嘉善大夫) 무경(茂卿) 이내번(李乃蕃)에 의해 처음 지어져 무려 10대에 이르도록 나날이 발전되어 증축 되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