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유체역학 실험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및 손실두 측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0:31
본문
Download : 유체역학 실험 - 유체유동 실험(Re.hwp
여기서 질량유량을 통해 유속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⑤ 같은 방법으로 상단기준 3번째인 축소관 및 4번째인 직관에서의 질량유속과 압력차를 측정(測定) 한다. 손실두를 계산할 때 적용되는 보정인자는 Reynolds Number를 구함으로서 결정한다.
3. 실험방법
- Reynolds Number 측정실험
① 별도로 고안된 펌프를 이용한 유체 수송 장치의 전원을 켠다. (하지만, 그래프 작도를 위해서는 유속이 필요하므로 유속또한 구하여 야 한다.
설명
유체역학 실험,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손실두 측정
유체역학 실험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및 손실두 측정)
- Reynolds Number 측정(測定) 實驗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④ 벤츄리관을 통과하는 배출되는 물을 30초간 별도의 수조에 담아 질량유속을 계산한다.
③ 전자식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벤츄리관 도입 전 후의 압력차(압력강하)를 측정(測定) 한다.
Download : 유체역학 실험 - 유체유동 실험(Re.hwp( 38 )
1. 실험headline(제목)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및 손실두 측정)
로 다시 정리(整理) 된다된다.
손실두 측정(測定) 實驗
4. 實驗결과
1. 실험제목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및 손실두 측정) 2. 실험일자 : 3. 실험방법 - Reynolds Number 측정실험 ① 수조를 준비하고 수조 내부에 긴 관을 배출관과 연결하여 물이 유속을 가지며 배출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준비한다.
2. 실험일자 :
다.)
한편 이번實驗에서 유속 를 구하는 데에는 직접적으로 유속을 측정(測定) 할 수 있는 방법이 아 닌 질량유량 을 구하여 밀도와 관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② 상단기준 2번째 관인 벤츄리관으로만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밸브를 열고 다른 관의 밸브는 모두 닫는다.
이되고 위의 Reynolds Number를 구하는 식은
Reynolds Number의 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⑥ 위의 과정에서 구한 물성을 이용하여 관내에서의 손실두를 계산한다.
① 수조를 준비하고 수조 내부에 긴 관을 배출관과 연결하여 물이 유속을 가지며 배출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준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