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국 의 밀 교 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9:29
본문
Download : 중 국 의 밀 교 사.hwp
둘째 번역승들의 출신인데, 위진남북조시대에 밀교계의 신주경전을 번역한 사람들과는 달리 초당·성당기의 밀교경전 번역승들은 대부분 인도에서 온 승려들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인도로부터 대량의 밀교경전이 유출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세번째의 특색으로는 이들 change(변화)관음계 밀교경전 속에는 지금까지 치병과 장수 등 현세이익적인 공덕뿐만 아니라 일부이기는 하나 성불과 무상정등보리의 획득이 설해져 있는 것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아지구다, 보제류지 등이 경전을 번역하여 이를 발전시킨 후, 다시 선무외, 금강지, 불공, 혜과, 반약, 찬영…(투비컨티뉴드 )
중 국 의 밀 교 사
첫째 어떠한 역경승의 번역 경전 속에도 십일면관음·천수관음·불공견삭관음·여의륜관음 등의 관음계 경전, 그것도 다면다비의 모...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 경향은 이른바 즉신성불을 표방하는 중기 밀교경전의 흥륭을 예감하는 것으로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3 . 밀교의 완성
중국(中國)에서 후한 이후의 초기 밀교는 송주를 위주로 하는 것이었으나, 그 후에 점차로 체계화하여 가면서 완성되었다.
설명






Download : 중 국 의 밀 교 사.hwp( 69 )
첫째 어떠한 역경승의 번역 경전 속에도 십일면관음·천수관음·불공견삭관음·여의륜관음 등의 관음계 경전, 그것도 다면다비의 모... , 중 국 의 밀 교 사인문사회레포트 ,
첫째 어떠한 역경승의 번역 경전 속에도 십일면관음·천수관음·불공견삭관음·여의륜관음 등의 관음계 경전, 그것도 다면다비의 모습을 가진 change(변화)관음에 관한 경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