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과 인슐린의 생합성, 분비 및 생리작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19:45본문
Download : 췌장과 인슐린의 생합성, 분비 및 생리작용.doc
4 인슐린 유전자의 특징
Central dogma에 따라 DNA가 전사(tran스크립트ion)과정을 거쳐 mRNA를 합성하고, mRNA가 번역(해독, translation)과정을 거쳐 단백질을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슐린의 전구체인 preprohormone도 특정 유전자(gene)로부터 합성되며, 이 유전자를 인슐린 유전자(insulin gene)이라고 한다.
Proinsulin은 A와 B 사슬 사이를 연결하는 펩타이드(connecting peptide)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Golgi body로 운반되면 proteolysis과정에 의해 절단되어 성숙한 인슐린을 합성하게 된다된다.
레포트/생활전문
인슐린의 구조, 분비, 생리작용 등 인슐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따라서 인슐린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므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IDDM)이 발생할 수 있다 현…(skip)
다.
Download : 췌장과 인슐린의 생합성, 분비 및 생리작용.doc( 31 )
설명
췌장과인슐린의생합성분(成分)비및생리작용
췌장과 인슐린의 생합성, 분비 및 생리작용
인슐린의 구조, 분비, 생리작용 등 인슐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대부분의 proinsulin은 insulin을 형성한 후 세포의 원형질막을 통해 exocytosis에 의해 분비되어 인체에서 고유의 기능을 나타내게 된다된다. 췌장과인슐린의생합성분비및생리작용 , 췌장과 인슐린의 생합성, 분비 및 생리작용생활전문레포트 , 췌장과 인슐린의 생합성 분비 및 생리작용
순서
췌장과,인슐린의,생합성,분비,및,생리작용,생활전문,레포트






1. 당뇨병과 인슐린 연구의 선구자들
2. 인슐린의 구조
3. 인슐린 생합성
4. 인슐린 유전자의 특징
5. 인슐린 분비
(1) 포도당
(2) 아미노산
(3) 호르몬
(4) 세포내 매개체
6. 인슐린 대사
7. 인슐린의 생리 작용
(1) 인슐린의 세포막 운반에 대한 효능
(2) 포도당 대사에 대한 효능
(3) Gluconeogenesis 작용
(4) 지방 대사에 대한 작용
(5) 단백질 대사에 대한 작용
(6) 세포 증식에 대한 작용
8 당뇨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의 증상
9. 췌장과 위장관 호르몬 (Pancrease and Gastrointestinal Hormones)
(1) 췌장의 구조
(2) 췌장의 기능
(3)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구성
(4) 조절
(5) 췌장액의 구성
(6) 인슐린, 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Insulin, Glucagon, Somatostatin)
3. 인슐린 생합성
처음 합성되는 인슐린은 분자량이 11,500인 preprohormone으로서 N-terminal 부위에 위치한 소수성 아미노산 23개로 구성된 leader peptide가 이것을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으로 유도하며, 여기에서 leader sequence가 절단되면서 disulfide bond가 형성되어 3차 구조를 이루면 분자량 9,000인 proinsulin이 된다된다. 다양한 그림이 독자의 이해를 높이는 글입니다.
인슐린 유전자는 11번 염색체의 short arm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경우 당연히 이 유전자로부터 합성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도 정상과 달라지게 되므로 기능에 이상이 생긴 인슐린이 합성된다된다. Connecting peptide가 절단되는 과정에는 trypsin-like protease와 carboxypeptidase-B like protease가 기능을 하며 췌장의 islet 세포에서 합성되는 다른 호르몬들도 이와 유사한 과정을 거친다. 다양한 그림이 독자의 이해를 높이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