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의 측정(measurement)과 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17:39
본문
Download : 실업의 측정과 구조.hwp
... , 실업의 측정과 구조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실업의 측정(measurement)과 구조
1990년대의 우리 나라의 실업률추이를 보이는 것이 <표 15-3>이다.
성별로 실업률을 살펴보면 남자에 비해 여자의 실업률이 훨씬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여성의 실업률이 더 낮은 것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남자보다 낮으며 취업의 가능성이 높은 사람만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선진외국의 경험과는 차이가 있다 통상적으로 여성의 실업률이 남성보다 더 높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990년대들어 꾸준히 증가하여 1997년에 62.2%를 최고로 1997년말부터 하락하기 스타트하였으며 1999년 3월현재 59.5%이다.
연령별로 실업률을 보면 80-90년대동안에 전반적으로 실업률이 하…(투비컨티뉴드 )
설명
1990년대의 우리 나라의 실업률추이를 보이는 것이 <표 15-3>이다. 이 표에서 보면 1997년까지 실업률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5-3> 우리 나라의 1980-1990년대의 실업률추이
자료(資料):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1999. 2월호, 통계청홈페이지.
한편 1980-90년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공급된 노동력 구조의 變化는 여성화, 고령화, 고학력화로 요약될 수 있다 여성화와 고령화는 인구구조의 變化와 경제활동참가율의 變化에 따라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고학력화는 교육제도의 變化에 따른 정치적 충격의 결과로 그 효과(效果)가 하향취업 및 고학력자 취업난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 표에서 보면 1997년까지 실업률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순서
다.
Download : 실업의 측정과 구조.hwp( 29 )





레포트/경영경제
1990년대의 우리 나라의 실업률추이를 보이는 것이 <표 15-3>이다. 이 표에서 보면 1997년까지 실업률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실업률은 1981년에 4.5%였으며 이후 1984년에 3.8%로 3%대로 내려갔고 1988년에 2.5%로 3%이하로 내려간 이후 1997년까지 2%대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1997년12월 이후 우리 나라의 실업률은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99년 2월에는 8.7%로 최고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공공근로사업 등의 影響으로 일부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97년의 외환위기이후 IMF관리체제하에서 금융기관과 기업의 구조조정을 통해 많은 실업자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며 앞으로도 높은 실업율을 유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