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지 행 동 모 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15:48
본문
Download : 인 지 행 동 모 델.hwp
Download : 인 지 행 동 모 델.hwp( 94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1. 행동주의 이론(理論)
2. 인지 이론(理論)
3. 인지행동모델
(1) 개요
(2) 실천과정
(3) 인지행동 모델의 長點
(4) 인지행동 모델의 단점
4) 부정적 인지. 사고체계 탐색
문제 속에 내재하는 역기능적 믿음, 사고체계, 인식체계 등을 찾아내도록 돕는 단계이다.인지행동모델[1] , 인 지 행 동 모 델인문사회레포트 ,
인지행동모델에 대한 글입니다.
5) 개입 전 reference(자료)수집
a social worker(사회복지사) 의 개입 후 클라이언트의 문제 상황이 해결되었는지를 사후에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개입 전 reference(자료)수집이 필요하고, 사회복지실천 행위에 대한 책임성이 요구되는 상황 하에서는 꼭 필요한 과정이 바로 이 사전 측정(測定) 작업이다. 이 과정에는 예전에 해보지 않…(省略)




설명
인지행동모델에 대한 글입니다.
인지행동모델[1]
인 지 행 동 모 델
레포트/인문사회
다. 문제의 발생빈도는 일정한 시간을 정해주고 그러한 상황 속에서 앞서 확인된 역기능적 생각이나 믿음이 얼마나 자주 일어났는가를 기록할 수 있고, 문제의 정도나 강도는 행동기록장에서와 같이 가장 적은 것을 1, 그리고 가장 큰 것을 10으로 하고 클라이언트가 각자 판단하여 기록할 수 있다
6) 부정적 인지 . 사고체계의 정황 analysis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부정확한 인식이나 잘못된 생각 등을 갖게 한 주변의 사건이나 상황을 스스로 analysis하여 그 당시에 자신이 가졌던 생각이나 믿음의 합리성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잘못된 인식체계를 찾아내는 과정에서 a social worker(사회복지사) 와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인식 및 사고체계가 어떻게 작용하여 어떤 결과를 낳게 하였으며, 그 인식 및 사고체계를 變化시켜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 충분히 토의한 후 동의해야 한다. 이것은 앞 단계(부정적인지・사고체계 탐색)에서의 작업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도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어떤 생각을 갖게 했던 장소, 인물, 구체적인 정황 그 가운데서 클라이언트가 보인 행동, 태도 등을 ⓐ상황에 진입하기 전 ⓑ진입하는 순간 ⓒ진입한 후 로 나누어 묘사하도록 한다. 이 단계는 부정적인지・사고체계 탐색단계의 작업과 상호 중복될 수 있고 보완적이 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이루어 질 수도 있다
7) 순기능적 인지 . 사고체계로 전환
자기 파괴적 인식체계를 순기능적 자기구술(self-statement)로 바꾸도록 a social worker(사회복지사) 가 모델링을 통해 도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