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인문사회] 메소포타미아 문명Mesopotamian civilization / 메소포타미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3:03
본문
Download : 메소포타미아 문명Mesopotamian civilization.hwp
설형문자는 그 후 엘람어·바빌로니아어·수메르어 등이 연이어 해독되고, 한편 고고학적 발굴도 A.H.레야드, V.프라스, H.러섬 등에 의하여 니네베·코르사바드·아슈르·바빌론...
인문사회 메소포타미아 문명Mesopotamian civilization / 메소포타미아
다. 또, 구약성서에 실린 유명한 ‘바벨탑’이나 헤로도토스의 《역싸(歷史)》 등 고전시대의 작품을 통하여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졌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18세기 후반에 탐험가와 여행가들이 이 지방에 대하여 보고를 하게 되면서 관심을 끌게 되었는데, 그 중에는 조각품의 일부 또는 명문(銘文)이 들어 있는 벽돌을 가지고 돌아온 사람도 있었다. 그런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해명은 아시리아학(學)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아 19세기로 접어들면서 설형문자의 해독과 유적(遺蹟)의 고고학적 발굴을 병행해서 진행하였는데, 독일의 G.F.그로테펜트(1775∼1853)와 영국의 H.C.롤린슨(1810∼95) 등의 노력으로 페르시아어(語)가 먼저 해독되었다.
Download : 메소포타미아 문명Mesopotamian civilization.hwp( 77 )
메소포타미아 문명 Mesopotamian civilization (-文明...





순서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메소포타미아 문명 Mesopotamian civilization (-文明...
[인문사회] 메소포타미아 문명Mesopotamian civilization /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 문명 Mesopotamian civilization (-文明) 비옥한 반월지대(半月地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영한 고대문명. 나일강 유역에서 번영한 이집트 문명, 인더스강 유역의 인더스 문명, 황허강[黃河] 유역의 황허 문명 등과 더불어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의 하나로 바빌로니아·아시리아 문명을 가리킨다. 그 중 롤린슨에 의한 베히스툰의 암석 절벽면에 3개국어로 씌어진 다리우스 대왕의 전승기념비문(戰勝記念碑文)에 대한 해독(1847)은 특히 유명하다. 한편, 1842년 프랑스인 P.E.보타가 아시리아의 수도였던 니네베를 발굴하여 약 2만의 책자로 된 고문서를 발견함으로써 아시리아학의 탄생을 보게 하였다. 그러나 넓게는 서남아시아 전체의 고대문명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아 셈족에 속하는 아카드인(人)·아무르인·아시리아인·칼데아인 등과 인도-유럽 인종에 속하는 히타이트인·카사이트인·메디아인·페르시아인 및 수메르인·엘람인 등이 활약하였으며, 공통의 문자로서 설형문자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