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재배식물육종학 중간課題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2:50
본문
Download : 재배식물육종학.hwp
즉, 개체 간에 자유롭게 교배가 이루어지는 집단의 충분히 크고, 집단 내에 자연 선택이나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으며, 다른 집단과 유전자 교류가 없을 때는 아무리 세대가 진전되더라도 집단의 최초 유전자빈도와
▶타식성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
자식성 식물의 자식(自殖)은 집단 내에 이형접합체를 감소
1.자식성 집단과 타식성 집단의 유전적 특성과 각 집단에 적합한 육종방법을 설명을하시오
다. 두 순계를 인공교배(AA/aa)하여 얻은 F₁의 유전자형(Aa)은 이형접합체이다. F₂부터는 유전자형들이 분리하며 세대진전과 더불어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가 변동한다. ▶자식성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 자식성 식물의 자식(自殖)은 집단 내에 이형접합체를 감소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자식성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
설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재배식물육종학 중간課題물
한국방송통신대학교,방통대,방송대,재배식물육종학,자식성,타식성,유전자형 빈도
자식성 식물에서 순계의 유전자형은 AA 또는 aa처럼 동형접합체이다. 두 순계를 인공교배(AA/aa)하여 얻은 F₁의 유전자형(Aa)은 이형접합체이다. F₂부터는 유전자형들이 분리하며 세대진전과 더불어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가 변동한다.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자형 빈도는 원칙적으로 하디-바인베르크법칙(Hardy-Weinberg law)을 따른다.
순서
▶자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Download : 재배식물육종학.hwp( 84 )
1.자식성 집단과 타식성 집단의 유전적 특성과 각 집단에 적합한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자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자식성 식물에서 순계의 유전자형은 AA 또는 aa처럼 동형접합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