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성능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20:30
본문
Download : 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성능에.hwp
5. 맺음말
3. 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역학적 特性(특성)
2.3 수화열
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성능에 관하여
4.3 운반에 따른 품질관리
4.8 경화후의 품질에 대한 조사방법
Download : 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성능에.hwp( 59 )
3.1 강도特性(특성)
4.7 마감․양생․이어치기에 따른 품질관리
3.3 알칼리-골재반응
4.4 고유동 콘크리트의 시험항목
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성능에 관하여
다.
2.2 블리딩
3.4 내산성 및 내해수성
4.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4.6 타설에 따른 품질관리
1. 머리말
2. 굳지 않은 고유동 콘크리트의 特性(특성)
3.2 동결융해 저항성
순서
倂用系 高流動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물/분체비(W/B)가 낮은 粉體系 고유동 콘크리트와 물/분체비가 높고 증점제를 비교적 많이 사용한 증점제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중간적 property(특성)을 갖는 콘크리트로 분류할 수 있따
2.1 응결特性(특성)
4.5 펌프압송에 따른 품질관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목 차≫
설명
3.6 중성화
4.1 재료의 품질변동에 따른 품질관리
≪목 차≫ 1. 머리말 2. 굳지 않은 고유동 콘크리트의 특성 2.1 응결특성 2.2 블리딩 2.3 수화열 3. 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3.1 강도특성 3.2 동결융해 저항성 3.3 알칼리-골재반응 3.4 내산성 및 내해수성 3.5 건조수축 3.6 중성화 4.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4.1 재료의 품질변동에 따른 품질관리 4.2 제조에 따른 품질관리 4.3 운반에 따른 품질관리 4.4 고유동 콘크리트의 시험항목 4.5 펌프압송에 따른 품질관리 4.6 타설에 따른 품질관리 4.7 마감․양생․이어치기에 따른 품질관리 4.8 경화후의 품질에 대한 조사방법 5. 맺음말
4.2 제조에 따른 품질관리





3.5 건조수축
구조물의 조건에 따라 분체계 고유동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저항성 및 수화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증점제계 고유동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재령강도 및 경제성 등의 문제가 우려될 경우에 병용계 고유동 콘크리트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