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역사)학 - 한자 초기 북유럽의 상인 네트워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2:34
본문
Download : 역사학 - 한자 초기 북유럽의 상인.hwp
더럼(Durham)의 수도사 레지날드(Reginald)가 작성한 성 고드릭의 초기 행적은 11세기말에 원거리교역을 수행했던 상인의 활동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통상 한자 歷史의 서술은 1158/59년 뤼벡의 건설과 더불어 스타트된다된다.
歷史(역사)학 - 한자 초기 북유럽의 상인 네트워크
2) 안정적 네트워크의 토대: 뤼벡의 건설과 정치적․군사적 후원
2) 프리슬란트인과 초기 원거리교역의 중계지 비크
3. 뤼벡의 건설 시기 - 네트워크의 안정적 발전
1. 도입
3) 네트워크의 확대 - 스칸디나비아인의 활약과 발트해
1) 안스카리우스의 여정
2. 한자 성립 이전 상인들과 네트워크의 흔적
설명
1) 정기시의 역할
4. 결론
1. 도입 2. 한자 성립 이전 상인들과 네트워크의 흔적 1) 안스카리우스의 여정 2) 프리슬란트인과 초기 원거리교역의 중계지 비크 3) 네트워크의 확대 - 스칸디나비아인의 활약과 발트해 3. 뤼벡의 건설 시기 - 네트워크의 안정적 발전 1) 정기시의 역할 2) 안정적 네트워크의 토대: 뤼벡의 건설과 정치적․군사적 후원 3) 고트란트 대상(隊商) 4. 결론
역사학,한자 초기 북유럽의 상인 네트워크
뤼벡의 건설 이전 시기 북해와 발트해의 교역 및 상인 네트워크에 상대하여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실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그는 처음에 행상을 하였으나 곧 무리를 이루어 상업활동을 하였고 멀리 로마까지의 항해에도 참여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수도사가 되기 전 약 16년간 교역에 참여하였던 고드릭은 가난한 집안에서 출생하였다.





순서
3) 고트란트 대상(隊商)
Download : 역사학 - 한자 초기 북유럽의 상인.hwp( 99 )
다. 드물게 남겨진 사료의 파편들만이 희미하게 그 시대를 조명할 뿐이기 때문일것이다 하지만 성 고드릭(St Godric of Finchale c.1065-1170)과 같은 일부 간헐적인 사료들은 뤼벡의 건설 이전 네트워크의 존재에 대해 실마리를 제공한다. 하지만 한자의 기반이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수행한 원거리교역에 있었으며, 한자도시들의 역량이 타지 및 외국에서 교역하는 상인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후원하는데 집중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한자의 실질적인 스타트은 조직화된 상인집단의 등장과 그들을 연결하는 상인 네트워크의 형성을 중심으로 고찰되어야 한다. 기존의 한자연구는 후대의 한자도시들을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한자로 인한 도시들의 발전에 초점이 놓여 있었으나, 한자의 본질 및 한자의 전 歷史를 일관되게 이해하려면 상인 네트워크의 생성, 발전 및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한자를 추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업상의 네트워크가 없었다면 그와 같은 정보의 습득과 교역활동은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고드릭의 example(사례) 는 당시 상인들이 즉흥적으로 지역을 넘나들며 여행했던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고드릭은 주로 덴마크와 플랑드르 지역 등에서 교역에 종사하였는데, 어느 곳에서 잉글랜드의 상품을 필요로 하는지, 어느 곳으로 가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고 여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