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 종말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4:15
본문
Download : 개혁주의 종말론.doc
종말론은 성경 중 어느 한 부분이나 구석에서 찾아낼 수 있는 것으로만 이해해서는 안 된다된다.
1.타락 (창3:15)
창3장의 타락기사는 장차 구속주가 있을 것이라는 약속의 말씀으로 이어지며 15에서는 구약성경 전체의 음조가 종말론적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예레미야의 외침과 예언은 주로 저주와 심판의 선언이었지만 동시에 장차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과 새 언약을 맺을 것임을 분명히 말했다. 특히 이 인자라는 용어는 신약에서 메시야와 동일시되고 있다
3.하나님의 왕국(신33:5, 시83:3, 145:1, 사43:15)
구약의 종말론적인 개관을 표현해 주는 또 다른 계시적인 concept(개념)은 하나님의 왕국이다.
…(drop)
개혁주의종말론






,인문사회,레포트
구약성경에서의 종말론과 신약성경에서의 종말론의 내용에 상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레포트/인문사회
구약성경에서의 종말론과 신약성경에서의 종말론의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5.이스라엘의 회복(렘23:3)
구약에 암시되고 있는 많은 종말론적 concept(개념) 중에서 돋보이는 것은 이스라엘의 회복이다. 자유주의자들은 구약에는 종말론적인 언급이 없다고 말하나 오히려 구약은 처음부터 끝까지 종말론적인 성향을 강하게 띄고 있다 “구약의 메시지 중심부에 하나님의 왕궁에 대한 대망사상이 놓여져 있다 신약의 메시지에 면면히 흐르는 사상은 이 대망사상이 나사렛 예수 안에서 원초적으로 성취되었다는 것이다”라고 브라이젠 교수는 명백히 말한다. 비록 “하나님의 왕국”이라는 용어는 구약에 나타나지 않지만 특별히 시편과 예언서에서는 하나님이 왕이라는 사실을 줄기차게 언급하고 있다
4.새 언약(히8:8-13, 고전 11:25)
종말론적 성향을 잘 드러내 주고 있는 또 하나의 concept(개념)은 새 언약이다. 오히려 종말론은 성경 전체의 메시지를 일관하여 면밀하게 흐르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예레미야가 살던 시대의 유대 백성들은 우상숭배와 범죄들을 행함으로 그들과 맺은 언약을 깨뜨렸다. 구약학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언약이란 concept(개념)은 구약계시의 중심점이다.
Download : 개혁주의 종말론.doc( 22 )
설명
개혁주의 종말론
다.
2.인자(단7:13-14)
구속자의 대망사상은 ‘인자’란 용어를 통해 드러난다.개혁주의종말론 , 개혁주의 종말론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성경의 종말론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그것을 성경계시의 연관성 있는 한 부분으로 바라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