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定義)와 이용분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14:14
본문
Download : [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와 이용분야.hwp
마찬 가지로 P형의 정공 역시 일부는 접합면을 넘어가서 N형의 전자와 결합하지만 N형의 + 이온으로 인하여 전부 넘어가지는 못하게 된다
금속학적 접합면을 기준으로 자유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반송…(drop)
Download : [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와 이용분야.hwp( 21 )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공학],반도체,-,PN접합의,정의와,이용분야,공학기술,레포트
[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와 이용분야 , [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와 이용분야공학기술레포트 , [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와 이용분야
다.
만일 반도체 내의 모든 자유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면 반송자가 없어지게 된다 반송자가 없어진다는 것은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 하면 (+) 성질을 가지는 정공과 (-) 성질을 가지는 이온이 서로 결합되어 있어 전기적으로 중성이 된다
P형,N형의 (+,-)이온들은 질량이 무겁기 때문에 움직일 수 없으나 전자와 정공은 자유 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온자체는 전류를 흐르는데 관여하지 않는다.[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定義)와 이용분야
[공학]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定義)와 이용분야
![[공학]%20반도체%20-%20PN접합의%20정의와%20이용분야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B0%98%EB%8F%84%EC%B2%B4%20-%20PN%EC%A0%91%ED%95%A9%EC%9D%98%20%EC%A0%95%EC%9D%98%EC%99%80%20%EC%9D%B4%EC%9A%A9%EB%B6%84%EC%95%BC_hwp_01.gif)
![[공학]%20반도체%20-%20PN접합의%20정의와%20이용분야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B0%98%EB%8F%84%EC%B2%B4%20-%20PN%EC%A0%91%ED%95%A9%EC%9D%98%20%EC%A0%95%EC%9D%98%EC%99%80%20%EC%9D%B4%EC%9A%A9%EB%B6%84%EC%95%BC_hwp_02.gif)
![[공학]%20반도체%20-%20PN접합의%20정의와%20이용분야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B0%98%EB%8F%84%EC%B2%B4%20-%20PN%EC%A0%91%ED%95%A9%EC%9D%98%20%EC%A0%95%EC%9D%98%EC%99%80%20%EC%9D%B4%EC%9A%A9%EB%B6%84%EC%95%BC_hwp_03.gif)
![[공학]%20반도체%20-%20PN접합의%20정의와%20이용분야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B0%98%EB%8F%84%EC%B2%B4%20-%20PN%EC%A0%91%ED%95%A9%EC%9D%98%20%EC%A0%95%EC%9D%98%EC%99%80%20%EC%9D%B4%EC%9A%A9%EB%B6%84%EC%95%BC_hwp_04.gif)
![[공학]%20반도체%20-%20PN접합의%20정의와%20이용분야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B%B0%98%EB%8F%84%EC%B2%B4%20-%20PN%EC%A0%91%ED%95%A9%EC%9D%98%20%EC%A0%95%EC%9D%98%EC%99%80%20%EC%9D%B4%EC%9A%A9%EB%B6%84%EC%95%BC_hwp_05.gif)
P-N 접합
[그림 1]
[그림1]은 분리되어 있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내부를 보여주고 있다 P형 반도체 내부에는 무수히 많은 정공이 존재하고 N형 반도체에는 전자가 존재하고 있다
P형 반도체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P-N 접합에서 모든 정공과 자유전자가 결합이 되지는 않는다. 또한 N형의 전자가 접합면을 기준으로 멀리 있을 수록 reaction response하기는 어려워 진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그림 2]
[그림2]에서 보면 P-N 접합 반도체에서 자유 전자와 정공은 금속학적 접합면 경계면에서 일어난다.
P형과 n형 반도체를 붙일 경우 자유 전자와 정공(Hole)을 움직일 수 있다
자유전자는 정공 쪽으로 정공은 자유전자 쪽으로 움직여서 서로 쉽게 재 결합이 이루어 진다.
그림의 N 형 반도체의 전자는 일부는 접합면을 넘어서 P형의 정공과 결합 하지만 경계면 주의의 (-) 전하로 인하여 N형의 모든 전자가 P형 쪽으로 넘어가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