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P 사업` 토종 게임 세계화 도우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3:50
본문
Download : 20070319.jpg
◇토종기업 해외 파트너 선정 통로=지난해 GSP 활용기업 중 게임어스, 드림익스큐션, 마상소프트, 마이에트엔터테인먼트, 씨알스페이스, 엔도어즈, 온네트, 윈디소프트, 이스트소프트, 이온소프트, 조이맥스 등 11개 업체는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 戰略시장에서 현지 파트너사와 손을 잡았다.
권택민 디지털콘텐츠사업단장은 “국내 대표적인 결제(PG)solution· 보안업체들을 GSP 얼라이언스로 선정해 게임 개발사와 함께 세계시장에 나갈 수 있는 길을 열었다”며 “GSP 활용 성과가 앞으로 계속해서 커지도록 사업 연계모델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
지난해 GSP를 활용해 온 라인게임 ‘실크로드온 라인’을 전세계에 서비스한 조이맥스는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이진호기자@전자신문, jholee@
Download : 20070319.jpg( 22 )
순서
◇각종 프로모션 연계, 수출effect 극대화= 소프트웨어진흥원은 지난해 GSP 대상 게임의 외국 현지 프로모션 형식으로 국제게임대회인 ‘게임앤게임월드챔피언십(GNGWC)’을 첫 개최했다.
이 대외 협력에 ‘메신저’ 역할을 해 준 것이 바로 GSP다.
레포트 > 기타
`GSP 사업` 토종 게임 세계화 도우미
설명
`GSP 사업` 토종 게임 세계화 도우미
굳이 대규모 게임전시회 등을 통하지 않더라도 외국 업체들이 한국 게임을 접하고 평가할 수 있는 ‘온 라인 마켓채널’로 자리잡은 것이다. 전용사이트인 ‘게임앤게임닷컴(www.gamengame.com)’을 통해 국산 게임에 접속,현지 서비스되기 때문에 외국 기업들은 굳이 한국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한국 개발사의 게임 수준과 이용자 평가, 현지시장 반응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아
지난 2004년 사업이 첫 처음 된 이래 3년간 총 36개의 국산 온 라인게임이 GSP를 통해 전세계 176개국에 서비스됐으며 누적 수출액만 3317만 달러에 이른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원장 유영민)이 운영하는 글로벌서비스플랫폼(GSP) 사업이 국산 온 라인게임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도약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아 GSP 대상기업은 대부분 기업들이 독자적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여유가 없는 중소업체들로 구성돼 있어 의미를 더한다. GSP 이용 이전에 비해 연간 매출이 8배 이상 폭증하는 성과를 거뒀다.
`GSP 사업` 토종 게임 세계화 도우미





이와함께 소프트웨어진흥원은 세계스카우트연맹과 협력을 통해 오는 7월 영국에서 열리는 세계잼보리대회에 디지털파빌리온 내에 한국 온 라인게임 코너를 만들어 전세계 youth들에게 국산게임을 알릴 예정이다. 그리고 올해 6월부터 연말까지 국산 온 라인게임 5종으로 온 라인예선을 벌인 뒤 12월 서울에서 최종 결승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서비스 내용도 토종 중소 게임업체의 발굴에서부터 외국 현지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지원이 이뤄져 궁극적으로 한국 게임산업의 대외 경쟁력 강화에 한몫 톡톡히 하고 있다아
`GSP 사업` 토종 게임 세계화 도우미
지난해 종목으로 활용된 ‘실크로드온 라인(조이맥스)’,‘샷온 라인(온네트)’, ‘건바운드(소프트닉스)’는 온 라인 예선에만 전세계 80개국, 107만명의 이용자가 참여하면서 큰 marketing effect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