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05:30
본문
Download :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hwp
남자 240명의 집단 층과 여자 60명의 집단 층이 생긴다.
남자 240명의 집단 층과 여자 60명의 집단 층이 생긴다.
그러면 남자 층에서 240 x 1/6=40명이 추출되고, 여자 층에서 60 x 1/6= 10명이 가기 추출되게 된다된다. 예를 들어, N=300인 모집단에서 n=50인 표본을 뽑는데, 모집단 성별 분포가 남 : 여=4 : 1로 구성되어 있음을 안다고 가정하자.
남성과 여성을 모집단과 동일한 비율로 표본에 포함시키려면, 우선 모집단을 성별 변수를 써서 층을 나눈다. 그래서 합계 n=50인 표본을 완성한다.
설명
![[표본추출]%20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20비비례층화표집)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1%9C%EB%B3%B8%EC%B6%94%EC%B6%9C%5D%20%EC%B8%B5%ED%99%94%ED%91%9C%EC%A7%91(%EB%B9%84%EB%A1%80%EC%B8%B5%ED%99%94%ED%91%9C%EB%B3%B8,%20%EB%B9%84%EB%B9%84%EB%A1%80%EC%B8%B5%ED%99%94%ED%91%9C%EC%A7%91)_hwp_01.gif)
![[표본추출]%20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20비비례층화표집)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1%9C%EB%B3%B8%EC%B6%94%EC%B6%9C%5D%20%EC%B8%B5%ED%99%94%ED%91%9C%EC%A7%91(%EB%B9%84%EB%A1%80%EC%B8%B5%ED%99%94%ED%91%9C%EB%B3%B8,%20%EB%B9%84%EB%B9%84%EB%A1%80%EC%B8%B5%ED%99%94%ED%91%9C%EC%A7%91)_hwp_02.gif)
![[표본추출]%20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20비비례층화표집)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1%9C%EB%B3%B8%EC%B6%94%EC%B6%9C%5D%20%EC%B8%B5%ED%99%94%ED%91%9C%EC%A7%91(%EB%B9%84%EB%A1%80%EC%B8%B5%ED%99%94%ED%91%9C%EB%B3%B8,%20%EB%B9%84%EB%B9%84%EB%A1%80%EC%B8%B5%ED%99%94%ED%91%9C%EC%A7%91)_hwp_03.gif)
표본추출,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비비례층화표집,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Download :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hwp( 28 )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
(1) 비례층화표본(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각 하위집단에서 동일한 표본 단위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제 각 층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데, 비례층화의 방법은 모집단 대비 표본의 크기 비율을 각 층에다 동일하게 적용한다. 예를 들어, N=300인 모집단에서 n=50인 표본을 뽑는데, 모집단 성별 분포가 남 : 여=4 : 1로 구성되어 있음을 안다고 가정하자.
남성과 여성을 모집단과 동일한 비율로 표본에 포함시키려면, 우선 모집단을 성별 변수를 써서 층을 나눈다. 이제 각 층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데, 비례층화의 방법은 모집단 대비 표본의 크기 비율을 각 층에다 동일하게 적용한다…(skip)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 ,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기타레포트 , 표본추출 층화표집 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
순서
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성별 변수의 분포만큼은 모집단의 분포 구성이 표본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을 확실히
[표본추출] 층화표집(비례층화표본, 비비례층화표집)
(1) 비례층화표본(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각 하위집단에서 동일한 표본 단위를 추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