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가의 운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4 13:31
본문
Download : 한국시가의 운율.hwp
한국시가의 운율
.
다.
③ 그 중에서 거의 변동이 없는 것은 초장 제 4구와 중장 제 4구와 종장 제 3구의 4자 그리고 종장 제 1구의 3자이다.
순서
한국시가의 운율





설명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② 장별(章別) 자수 배열은 3․4․4(3)․4/3․4․4(3)․4/3․5․4․3/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규정의(定義) 최 단 자수에서 최장 자수 내에 신축한다.
이후 “3․4․4(3)․4/3․4․4(3)․4/3․5․4․3”이라고 하는 시조의 자수율격은 대중에 보편적으로 인식되어 근 반세기의 권위를 누려오고 있다. 이 논문은 통계적 방법에 의하여 시조의 자수적 형태를 구명한 것이다. 조윤제, 한국시가의 연구」, 을류문화사, 1948, 171~172면.
한국시가의 운율
이상 1920년대의 운율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이 시기를 전후해서 운율 연구가 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운율에 대한 문인들의 구체적인 논의는 192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부터 처음 된다. ‘형식 운율’은 다시 평측법, 압운법, 음수율로 나누어지는데, 그에 의하면 우리 시는 평측법이나 압운법과는 관련이 없고, 다만 음수율에 준거하여 그 형식과 운율이 성립한다고 보고 있다. 이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병기가 사용한 율격의 개념은 meter가 아니라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의 운율이었고, 시조의 운율을 음성률, 음위율, 음수율로 분류하여 논하면서 시조에서 음위율은 인정하지 않고 음성률과 음수율만 그 속성 으로 보고 있는데다 음성률을 상당히 막연한 음성학적 자질에 의한 것으로 보는 등 한국 시가의 율격에 대한 충분한 이해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양주동의 「시와 운율」과 김기진의 「시가의 음악적 방면」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김기진은 양주동과 마찬가지로 한국시가 운율의 요소를 음절수(음수율)에서 찾았는데, 특이하게도 음색 또한 한국시가 운율의 한 요소로 보았다. 이병기의 「시조란 무엇인고」, 이은상의 「시조단형추의」, 이광수의 「시조의 자연율」 등을 거쳐 1928년 이병기의 「운율과 시조」에 와서 운율 일반론이 아닌 구체적인 한국 시가(시조)를 대상으로 하는 운율론이 전개되었다. 예창해, 「한국시가율격연구에 대한 통시적 성찰」,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39면.
한국시가의 운율
Download : 한국시가의 운율.hwp( 52 )
한국시가의 운율
.
① 시조의 1수의 자수는 44자 혹은 45자에 중심을 두고 41자에서 50자 범위 내에 있다.
이렇게 다소 피상적으로 전개되던 중에 최초의 본격적 학술논문이라 할 만한 것이 나왔는데, 그것은 바로 조윤제의 「시조 자수고」이다.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한국시가의 운율
192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민족 문학에 관심이 일기 처음 했고 전통적 문학 양식으로서 시조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양주동은 시의 운율을 ‘형식 운율’과 ‘내용 운율’로 양분한다. 그는 우리 언어가 지니고 있는 음색적 속성 을 규명하여 시의 운율에 적용하려했는데, 자음과 모음들 가운데 강유(剛柔)와 명암의 대조적인 성질을 지니고 있는 것들이 있어서 이러한 이질적 성질을 지닌 자모들을 적절하게 선택 배열함으로 시적 효율를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