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21:17
본문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hwp
지금부터 『고려사』「악지」의 구성과, 그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2. 『고려사』 「악지」 개관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
.
설명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순서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hwp( 65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려사』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수정을 거치며 편찬된 기전체 역싸서로, 세가(世家) 46권, 지(志) 39권, 연표 2권, 열전 50권, 목록 2권의 총 139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사』는 고려 시대를 연구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data(자료)라는 의의를 지니고 있는데 이 중 국문학계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역시 여러 속악가사들에 대한 기록이 실려 있는 『고려사』「악지」부분일 것이다.
「악지」의 서문은 아래와 같은데, 이 서문에서 몇 가지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와 악지의 구성과 내용
『고려사』의 「지」는 천문, 역, 오행, 지리, 예, 악, 여복, 선거, 백관, 식화, 병, 형법 등의 순서로 서술된 십이지(志) 총 39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악지」는 이 중에서 6번째에 속한다.
다. 「악지」에 아악, 당악, 속악이 모두 나타나 있는 것은 고려가 제향이나 연향에서 이 모두를 사용했기 때문일것이다 책의 분량으로 살펴보면 아악은 59면, 당악은 60면, 속악은 37면으로 속악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속악조이다. 『고려사』「악지」는 ‘악’에 대한 짤막한 서론을 제일 앞에 두고 아악, 당악, 속악조를 차례로 배열하였고, 속악조는 다시 속악 일반론, 악기, 정재, 고려와 삼국의 속악가사와 용속악범도(庸俗樂範度) 등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