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평가의 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22:16
본문
Download : [교육] 교육평가의 모형.hwp
2) 교육평가는 학습경험의 선정 및 조직에 기여한다 : 교육평가는 학습경험을 선정할 때 어떤 特性(특성)을 가진 집단의 학생에게 이 같은 학습경험이 적절한지, 특정한 내용 및 경험이 어느 정도 교육적 효능이 잇는지를 …(생략(省略))
3) 교육평가는 교수-학습과정에 공헌한다 : 교육평가는 어떤 교수방법이 어떤 特性(특성)을 지닌 학생에게 적절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교수과정 중에 학생에게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학생의 학습결과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수업을 수정하는데 기여한다.
5) 탈goal(목표) 평가 : 스크리븐은 처음부터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program]) , 교육정책이 어떤 goal(목표) 를 가지고 실시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주지 말고, 여러 가지 정보와 증거만을 수집해서 그 프로그램(program]) 의 goal(목표) 가 무엇이며, 그것이 제대로 성취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평가를 제안하고 있따
3. 스터플빔(Stufflebeam)의 의사결정 촉진모형
(1) 기본입장
1) 이 모형에서는 교육평가의 목적을 교육의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것이라고 본다.
2. 스크리븐과 스테이크(Scriven & Stake)의 판단모형
(1) 기본입장
1) 이 모형에서는 평가 그 자체의 성질 및 평가 그 자체의 유용성 여부의 판단에 관심을 둔다.
2) 평가유형을 ① 체제평가 혹은 요구평가, ② 프로그램(program]) 계획평가, ③ 프로그램(program]) 시행평가, ④ 改善(개선) 평가, ⑤ 프로그램(program]) 의 확인 평가 등으로 나누고 있따
[교육] 교육평가의 모형
[교육] 교육평가의 모형 , [교육] 교육평가의 모형사범교육레포트 , 교육 교육평 모형
Download : [교육] 교육평가의 모형.hwp( 51 )
다.
순서
![[교육]%20교육평가의%20모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5D%20%EA%B5%90%EC%9C%A1%ED%8F%89%EA%B0%80%EC%9D%98%20%EB%AA%A8%ED%98%95_hwp_01.gif)
![[교육]%20교육평가의%20모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5D%20%EA%B5%90%EC%9C%A1%ED%8F%89%EA%B0%80%EC%9D%98%20%EB%AA%A8%ED%98%95_hwp_02.gif)
교육평가의 모형
1. 타일러(Tyler)의 goal(목표) 성취 모형
(1) 기본입장
1) 이 모형에서는 교육평가를 교육프로그램(program]) 의 goal(목표) 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나를 결정하는 것으로 본다.
① 형성평가: 아직 개발 도중에 있거나 진행 중에 있는 수업과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형성적으로 노력하는 평가이다.
2) goal(목표) 의 불성취는 교수 프로그램(program]) 의 부적합을 나타내며, goal(목표) 의 성취는 교수 프로그램(program]) 의 성공을 나타내는 증거로 본다.
2) 즉, 평가를 “의사결정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기술하고, 그것을 수집하며, 잘 정리(arrangement)된 상태로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려는 것”으로 본다.
② 맥락평가는 교육상황에서 무엇이 문제인가, 무엇이 충족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가를 밝혀서 장차의 교육 프로그램(program]) 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어야 할 일반goal(목표) 와 특별goal(목표) 를 확인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③ 맥락평가를 위해 체제分析, 조사, 문헌연구, 면접, 델파이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따
3) 과정평가(process evalution) : 이는 교수 프로그램(program])
을 투입한 다음 goal(목표)
를 달성하는데 적절한지, 그 효율성이 어떠한 지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하고 改善(개선)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그 프로그램(program])
이 처음 생각한 것만큼 잘 진행되지 않을 경우 그 問題點, 결함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결정자에게 제공하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교육,교육평,모형,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교육] 교육평가의 모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① 교육goal(목표) 를 결정하는 합리적 기초나 이유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요구평가’(need assessment)라고 불리기도 한다.
4. Alkin의 CSE모형
1) 이는 UCLA 대학의 CSE(Center of the Study of Evaluation)의 소장이었던 Alkin의 모형으로 의살결정 모형의 일종이다.
4) 비교평가의 도입 : 스크리븐은 교육평가가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program]) , 교육goal(목표) 등의 대안들 사이에 어느 것이 보다 우수하며, 어떤 advantage(장점) 이 있는지, 또 그것의 효능가 무엇인지를 비교해서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2) 이 같은 새로운 평가의 관점을 제안한 사람은 철학자인 스크리븐(M. Scriven)과 심리측정(測定) 이론(理論)가인 스테이크(R. Stake)이다. 그래서 교육평가가 goal(목표) 의 성취 수준이나 질만을 따지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goal(목표) 그 자체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4) 산출평가(product evalution) : 이는 프로그램(program]) 에 의해 성취된 결과를 측정(測定) 하고 해석하려는 평가이다.
(2) 평가의 기능1) 교육평가는 교육goal(목표) 의 선정과 세분화에 이바지한다 : 교육평가는 어느 goal(목표) 가 달성 가능한 것인지, 어느 집단의 학생에게 적합한 것인지, 또 어느 goal(목표) 가 전이와 응용의 폭이 넓은 것인지 등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제시해 줌으로써 교육goal(목표) 를 선정하는데 이바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