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 테러공조와 반테러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2:06
본문
Download : 한국의 대 테러공조와 반테러정책.hwp
즉 해군은 상륙함인 향로봉함(4,300t급)을 포함한 170명 규모의 해군 수송 지원단이 인도양 지역에서 군수품 수송업무를 담당케 하였다.
또한, 한국은 총 12개의 테러관련 국제협약 중 아래의 8개의 국제협약 및 의정서당사국이다. 1…(투비컨티뉴드 )
한국의 대 테러공조와 반테러정책에 대한 글입니다.
한국의 대 테러공조와 반테러정책에 대한 글입니다.테러대응 , 한국의 대 테러공조와 반테러정책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의 대 테러공조와 반테러정책






Download : 한국의 대 테러공조와 반테러정책.hwp( 57 )
테러대응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공군은 C130 수송기 4대를 포함, 조종사, 정비사 및 지원요원 150명이 김해에 주둔하면서 김해-디에고가르시아간 물자공수를 담당하였다. Ⅰ.들어가며......................................................................................................................................1.
Ⅱ.한국의 대테러공조...................................................................................................................1.
1.국내조치...............................................................................................................................1.
2.대테러 국제공조.................................................................................................................2.
Ⅲ.한국의 반테러정책..................................................................................................................4.
1.반테러정책의 내용..........................................................................................................4. 2.반테러정책의 問題點.........................................................................................................4.
Ⅳ. 테러방지법안 논란과 시사점..............................................................................................5.
1.테러방지법안의 요지.........................................................................................................5.
2.테러방지법안의 問題點.....................................................................................................6.
3.테러방지법안 논란의 시사점........................................................................................13.
Ⅴ. 맺음말......................................................................................................................................14.
2. 대테러 국제공조
한국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의장 명의 반테러 선언(2001.10.15.), 제9차 및 제10차 아ּ태경제공동체(APEC) 정상회의 반테러 선언(2001.10.21. 및 2002.10.26.), 아세안과 한ּ중ּ일(ASEAN+3) 정상회의시 반테러 관련 의장언론성명, 제4차 ASEM 정상회의시 반테러 선언(2002.9.23.), 민주주의공동체 서울회의시 반테러 성명(2002.11.12.)을 발표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2001년 유엔총회 의장국으로서 유엔 총회 및 안보리에서 대테러 관련 결의안 채택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flight(항공)기내에서 행한 범죄 및 기타행위에 관한 협약(1971.2.19. 가입)
-flight(항공)기의 불법납치 억제를 위한 협약(1973.1.18. 가입)
-민간flight(항공)의 안전에 대한 불법적 행위의 억제를 위한 협약(1973.8.2. 가입)
-국제민간flight(항공)에 사용되는 공항에서의 불법적 폭력행위의 억제를 위한 의정서(1990.6.27. 가입)
-외교관 등 국제적 보호인물에 대한 범죄의 예방 및 처벌에 관한 협약(1983.5.25. 가입)
-인질억류방지에 관한 국제협약(1983.5.4. 가입)
-핵물질의 방호에 관한 협약(1982.4.7. 가입)
-가소성 폭약의 탐지를 위한 식별조치에 관한 협약(2001.12.31. 가입)
한국政府는 미국의 대테러전 관련, 해ּ공군 수송지원단과 육군 의료 지원단 등 450명 규모의 비전투원 및 수송 수단을 지원하였다.